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유리잔에 묻은 지문 채취하기
과학동아
l
199403
모두 10손가락을 찍어 각 손가락에 번호를 적어둡니다.4. 종이에 찍힌 지문을 잘 말린
다음
기본형을 보고 분류해 보세요.실험방법1. 자신의 지문이 유리잔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며 유리 잔에 묻어있는 지문의 위치를 확인하세요.2. 지문 위에 연필심 가루를 살살 뿌리세요(집에서 사용하는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근육인 심근을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수축되게 만들어서 일단 부정맥 증상이 나타나게 한
다음
에, OGY방법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신호로 심장을 자극하였는데 심박수가 규칙적으로 되면서 안정화되었다. 사람 심장의 혼돈제어 실험에 성공하면 가까운 장래에 혼돈을 응용한 심박조절 장치가 개발될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03
'우'자가 아니라 '도'자가 될 것이고 그 전과 후에 발음된 '에'자와 '서'자가 섞여서
다음
에 들릴 것이므로 무슨말을 하고 있는지 전혀 모르게 된다.만약에 음속보다 느리게 움직이면서 말을 해도 도플러 효과에 의해서 말하는 사람의 음성은 심하게 변조될 것이다. 말하는 사람의 운동상태에 따라서 ... ...
물질과 결합 핵융합의 수백배 에너지 방출하는 반물질(反物質)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02
디랙의 예언과 앤더슨의 발견이 있은 후 반입자의 존재는 그 위치를 확고히 했다. 당연히
다음
차례는 반양성자를 찾는 일이었다. 그러나 반양성자를 찾는 일은 양전자의 발견과는 조금 차원이 다른 문제였다. 우선 반양성자의 질량이 양전자의 1천8백36배이기 때문에 커다란 에너지가 필요했다.제2의 ... ...
화학- 물위에 물 쌓기
과학동아
l
199402
단위는 보통 kg/㎥, g/㎤입니다. 색동 무늬탑을 쌓는 데 몸을 바친 액체들의 밀도는
다음
과 같습니다. 글리세롤 : 1.262 g/㎤, 시럽 : 약 1.104 g/㎤, 물 : 0.997 g/㎤, 올리브유 : 0.909 g/㎤.그 유명한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나는 알았다)!" 이야기도 이 밀도와 관계되는 이야기랍니다 ... ...
액정화면으로 읽는 '디지털 북' 등장
과학동아
l
199402
간단하게 불러내 읽을 수 있는 것으로, 말하자면 전자문고라 할 수 있다.전자책의 특징은
다음
과 같다. 본문이 아닌 주석이나 해설 등의 정보를 화면에 불러낼 수 있고 필요한 곳에 표시를 하거나 글씨를 지우거나 할 수 있으며 페이지는 원터치로 넘길 수 있다. 또 글씨를 확대하여 볼 수 있으며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402
않게 눈여겨봐야 할 사항이 있다. 바로 버퍼(buffer)의 용량이다 버퍼는 컴퓨터가 바로
다음
에 요구할 디스크상의 정보들을 미리 보드 위의 메모리로 옮겨놓음으로써 전체적인 수행속도를 향상시켜주는 임시저장소다. 게임이나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같은 그래픽을 즐기고자 한다면 필수적으로 버퍼를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02
하는데 에테르에 대해 정지해 있는 사람은 그 자료를 그대로 쓰면 되기 때문이다.
다음
과 같은 비유가 가능할 것이다. 즉 영국이나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은 다른 곳에 태어난 사람보다 문화적으로 유리하다. 왜냐하면 문화적인 자료가 영어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아서 영어를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다. 이 분류법을 다른 말로 표현해보면 과명은 가장 중요한 특성을 뜻했고 아과명에는 그
다음
특성에 해당하는 종양성인가 비종양성인가를, 속명에는 바이러스의 모습을, 종명에는 현재 붙여진 바이러스의 이름을 그냥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과명이 없거나 속명이 없는 바이러스도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02
남아있는 형태 발생의 빈 그림을 채우기 시작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발생의 바로
다음
단계에는 고슴도치 분자들과 진화상에서는 떨어져 존재하지만 역시 신체를 열심히 만들어나가는 필수적인 인자들이 참여한다. 연구자들은 이제 고슴도치분자들과 혹스 유전자(Hox gene)라고 널리 알려진 것을 ... ...
이전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