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변신의 귀재 탄소
과학동아
l
200701
로버트 컬
교수
와 리처드 스몰리
교수
그리고 영국 서섹스대의 해럴드 크로토
교수
가 탄소 원자 60개로 이뤄진 축구공 모양의 분자인 풀러렌을 발견했다.‘분자세계의 축구공’인 풀러렌의 크기는 어느 정도일까? 보통 축구공의 지름이 약 0.3m고 풀러렌의 지름이 0.7nm(나노미터, 1nm=10-9m)이므로 ... ...
문어 피부에 숨은 '3D 세포'
과학동아
l
200701
들어 하얀빛을 비추면 하얗게 빛나 보이고 파란빛을 비추면 푸르스름해 보였다.한론
교수
는 “이 단백질은 비춘 빛에 가까운 쪽으로 자신의 색을 변화시키는 일명 ‘3D세포’”라며 “그래서 문어가 바위틈에 숨을 때 바위와 비슷한 색을 띨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 ...
2006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701
실용위성 아리랑 2호 발사 성공과 한국 우주인 배출사업이, 3위는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의 논문 조작 사건, 4위는 전도성 플라스틱 개발 소식이 차지했다.5∼10위에는 북한 핵실험 파문, 암세포 증식 촉진 단백질 발견, 타원은하 기원 규명, 나노 크기 영구자석 원리 규명, 파킨슨병 메커니즘 발견,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01
그러나 이종간 장기 이식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만만치 않다. 서울대 수의학과 우희종
교수
는 “면역은 생물의 생존 시스템”이라며 “이종간 장기 이식은 생물의 개체성을 부인하는 것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사람과 함께한 그 순간부터 돼지는 자신의 모든 것을 아낌없이 사람에게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근거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또 미국 네바다대 심리학과 마이클 웹스터
교수
는 2004년 남성의 얼굴을 많이 보다가 여성의 얼굴을 보게 되면 그 얼굴이 더욱 여성적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종의 잔여효과(aftereffect)가 생긴다는 말이다. 홍일점이 더 예뻐 보이고 청일점이 더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01
출생 / 1957 서울공대 전기공학과 졸업 / 1969 미국 텍사스 A&M대 박사 / 1969 공군사관학교
교수
/ 1982 국방과학연구소 소장 / 1984 한국전기통신공사 부사장 / 1990 과학기술처 차관 / 199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 1998 SK텔레콤 부회장 / 1999 초당대학교 총장 / 1999 과학기술부 장관 / 2004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01
수 있을까. 수학적으로는 무한히 작아질 수 있지만 현실에서는 쉽지 않다. 그러나 남
교수
에게 한계는 없어 보인다. 반도체의 집적도가 1년 반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황의 법칙처럼 머지않아 펨토초의 벽을 허물고 아토초로 질주하는 ‘남의 법칙’이 나오지 않을까 ... ...
우리는 의식하고 있다는 걸 의식한다
과학동아
l
200701
신경과학연구재단을 이끌고 있다. 현재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생물학과
교수
로 재직 중이다. 1972년 항체의 분자구조가 Y자 모양이라는 사실을 발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의 연구를 토대로 몸속에 항원이 침입했을 때 항체가 어떻게 활동하는지 드러났고 면역체계에 대한 이해의 폭이 ... ...
아들은 아빠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701
비정상 정자가 더 많은 정액을 받은 붉은사슴은 암컷새끼를 더 많이 낳았다.고멘디오
교수
는 “정액에 정상 정자가 많으면 수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생식력이 커진다”며 “생식력이 큰 정자 대부분은 성 염색체로 Y염색체를 가져 수컷새끼를 많이 낳는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는 수컷이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01
외계행성 ‘웁실론 안드로메다 b’에 대한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 조셉 해링턴과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브래드 핸슨 연구팀은 스피처 우 ... 틀릴 수도 있음을 증명했다.한편 이 논문에는 도올 김용옥 씨의 사위 크리스티앙 메누
교수
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했다 ... ...
이전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