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붉은 빛으로 바뀌어간다.이것은 별들이 발하는 빛은 그 대부분이 포함하고 있는
에너지
의 양이 매우 적고 하늘을 밝게 비출만한 능력이 없을만큼 옅게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이점이다. 하늘이 새까맣다는 것은 우주의 팽창때문이다. 이러한 논리는 매우 매력적이어서 나는 천문학에 관한 ... ...
전기가 「콸콸」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낮은데로 흐른다. 전기도 마찬가지. 따라서 전기
에너지
는 높은데서 낮은데로 흐른다. 이
에너지
의 차를 전위차라 하며 단위는 볼트(V)를 쓴다. 이를 우리는 흔히 전압이라 부르고 있다.우리 가정에 공급되는 전기의 전압이 1백10V인 경우와 2백20V인 경우를 비교해보자. 물이 1백10m 높이에서 떨어지는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핵폐기물의 불안에 떨어야하는 원자력발전 보다 LNG는 쉽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에너지
다. 그런데 LNG는 -1백62℃에서 액체가 되므로 천연가스를 액화시키는 과정에서 수분이나 탄산가스 그리고 부식을 일으키는 황 금속성분을 분리시키지 않으면 극저온에서 액화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무엇보다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시가지 같은 6개 구조물의 집합체가 있었고 라마가 태양
에너지
권 내로 들어와 태양의 열
에너지
가 내부로 침투하자마자 놀라운 사태가 전개된다. 라마 내부의 바다 속에 유기질의 형태로 녹아 있던 소재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생물 로봇들이 합성되고 이들은 우주선을 관리하기 위해 이리저리 ... ...
우주선이 맥주거품을 만든다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가득 채워져 있었다. 그렇지 않아도 끓기 일보직전인 액체수소에 감마선 등 고
에너지
의 우주선이 통과하면 수소기체 즉 거품이 생길것이다. 그러나 차가운 맥주의 경우에는 사정이 다르다. 우주의 소립자가 맥주를 끓게 할 정도로 강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맥주병의 따개를 딸 때 생기는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신체의 말단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단백질이다. 저장단백질(storage protein)은 생명체의
에너지
원으로 이용되는데 식물 씨앗의 단백질, 우유의 카제인, 계란 흰자의 알부민 등이 여기에 속한다.수축성 단백질(contractile protein)이란 근육의 이완-수축운동에 대한 주체적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약 70만년 전에 일어났던 것으로 믿어진다. 이 자기장 때문에 천왕성 주변에는 높은
에너지
의 입자로 이루어진 자기권(磁氣圈)이 형성돼 있다. 자기권의 존재를 나타내는 오로라가 천왕성의 어두운 쪽에서 실제로 관측됐다. 고리가 어두운 이유천왕성에도 고리가 있다는 사실은 1977년 세팀의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운용비도 싸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또 일본정부는
에너지
와 공해문제의 해결책의 하나로 1970년부터 전기자동차 개발에 나섰다. 그러나 7년간 4천6백만달러의 연구비를 투입한 이 사업도 실패하고 말았다. 일본 연구계가 장기간 시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만들 수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간이 만들어낸 기계에서 나올 것 같지는 않다. 백보를 양보해서 그런 어마어마한
에너지
를 낼 수 있는 기계가 있어 우주 전체의 사건을 뒤로 돌릴 수 있을지 모르지만, 우주여행하는 사람을 제외한 부분만을 과거로 미래로 돌린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주 여행을 하고 있는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해결도 새로운 학문 분야 출현을 앞당기고 있다. 무공해 대체
에너지
기술의 연구, 폐기물 처리기술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 ...
이전
525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