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도
명도
d라이브러리
"
밝기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04
노트북컴퓨터와 연결해 사진을 멀리 있는 컴퓨터로 전송한 후 이 컴퓨터에서 사진의
밝기
크기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눈을 감은 채로 백일 사진을 찍었다면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눈을 뜨고 있는 사진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진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모아 편집을 해 CD롬으로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04
좋다. 특히 사진 촬영에서는 모터의 정밀성이 매우 중요하다.용어설명별의 등급 : 별의
밝기
를 숫자로 나타낸 것. 기원전 2세기 경 히파르쿠스라는 사람이 눈으로 볼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어둔 별을 6등급으로 정한데서 출발됐다. 후에 1등성은 6등성보다 1백배 밝고 1등급 차이는 약 2.5배의 ... ...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04
1.4로 렌즈의
밝기
를 표시한다. 그러므로 렌즈는 이 숫자가 작을 때 밝다. 50mm렌즈와 같은
밝기
가 되려면 20mm광각렌즈는 구경이 작아야 하고 400mm망원렌즈는 구경이 훨씬 커야 한다.렌즈를 통과한 일정한 양의 빛은 조리개와 셔터속도에 의해 쪼개진다. 조리개가 f8이고 셔터속도가 1/125초일 때 필름에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04
것도 매우 재미있다. 눈에 보이는 혜성과 부근의 밝은 별들을 비 교해서 혜성의
밝기
를 가늠해 본다. 또는 날이 어두워지면서 막 혜성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각에 관측되는 가장 어두운 별을 기록해도 좋다. 혜성은 별과 달라서 퍼져 보이므로 처음에는 쉽지 않다. 이러한 관측은 과거 망원경이 없을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03
3등급이었다. 3월 말 히야쿠타케혜성이 지나가는 별자리는 작은곰자리.그러나 혜성의
밝기
는 예상과 달리 변화가 많다. 그러므로 히야쿠타케혜성이 실제 얼마나 밝을지는 두고봐야 한다. 현재 천문대에서는 소백산천문대 61cm 망원경과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 등을 이용해 이 혜성을 계속 추적하고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02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태양 활동 극대기와 극소기를 비교하면 태양의
밝기
가 0.1% 변화했는데 지구의 기온은 0.5℃가 상승했다. 또 16세기의 간빙기와 태양의 흑점활동이 저조했던 시기가 일치하는 것은 우연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런 만큼 태양활동의 주기와 농작은 급류와 뗏목, 또는 ... ...
황소자리의 일곱 자매
과학동아
l
199512
4%는 유성흔을 남긴다.
밝기
는 평균 2.4등급.19일 목성의 합.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6.2AU,
밝기
는 -1.8등급.22-24일 해가 진 뒤 서쪽 지평선 위를 보면 초승달과 금성이 밝게 빛난다. 그 오른쪽에는 수성과 화성이 지평선 낮게 깔려 있다. 금성은 차차 고도가 높아져 1996년 봄 최대이각에 이른다.25일 혼다 ... ...
멀티환경의 화룡점정 모니터
과학동아
l
199512
비해 대형임을 확실히 실감할 수 있는 고가의 17인치 모니터를 구입할 때는 해상도와
밝기
를 스스로 알아서 조절하는 기능과 모니터에 이상이 생겼을 때 그 원인을 화면에 표시해 주는 자기진단 기능 등을 반드시 살펴야 한다. 하지만 그래픽 작업을 많이 하지 않는 경우라면 굳이 17인치를 살 필요가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12
장의 화상을 겹쳐서 완성했다. 베스타의 지름은 약 6백㎞.(사진8)의 위는 베스타의 표면
밝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 나타난 지형은 오래된 용암류와 같은 화산성 물질이거나 미천체의 충돌에 의해 지각이 벗겨져 나가고 맨틀이 드러난 구조라고 생각된다.(사진8)의 아래는 베스타 표면의 ... ...
초신성폭발의 장엄한 피날레
과학동아
l
199511
폭발로 생긴 대표적인 잔해들이다.이 장엄한 피날레는 흔치 않지만, 한번 일어나면 그
밝기
가 태양의 10만배에 이른다고 한다. 특히 자외선에서 많은 복사를 낸다. 강력한 자외선 복사는 초신성뿐 아니라 무거운 별이 태어날 때에도 발생한다. 독거미성운이 자외선 영역에서 밝게 나타나는 까닭은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