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142건 검색되었습니다.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12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3월 음속의 7배(마하 7)를 돌파한 극초음속 X-43A가 이번에 실시된 마지막 세번째 실험비행에서 음속의 10배를 돌파했다.X-43A는 오직 수소연료만 탑재하며 필요시 대기에서 산소를 공급받기 때문에 기존 비행기보다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1932~ 미국의 물리학자 뉴 ... ...
'딥 임팩트' 우주선 혜성 향해 발사
과학동아
l
200411
내부 구조 등을 고성능 광학카메라와 분광계를 통해 분석할 계획이다. 미 메릴랜드대
천문학자
마이클 에이헌은 “충돌은 지구에서 1억2천8백만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지만 지구의 특정 위치에서는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올해 1월 NASA의 혜성 탐사선 ... ...
다채로운 색깔 띤 우주의 거대 거품
과학동아
l
200411
목성이 접근한다는 예보가 있어 유럽
천문학자
들의 시선이 집중됐다. 독일의 유명한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도 관측에 나섰다가 공교롭게 두 행성 근처의 땅꾼자리에서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 이 별은 목성만큼이나 밝았다.케플러는 18개월에 걸쳐 이 별을 관찰한 결과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10
날에 발생하는 스모그 대기오염의 하나로 194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확인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10
생각은 과학적으로 실증되지 않았으며 다분히 마술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프랑스의
천문학자
C 메시에가 만든 성단 · 성운의 목록 메시에는 1700년대 후반에 13개의 혜성을 발견했는데, 그때 혜성과 비슷해 잘 분간할 수 없는 천체(성운 · 성단)를 109개 모아 84년에 출판했다이 목록에 수집된 성운 ·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10
별의 구조와 진화를 밝힌 업적으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영국의
천문학자
마틴 리즈는 “찬드라세카르는 아인슈타인 이후 우주에 대해 누구보다도 오랫동안 깊이 생각한 사람이었다”고 회상했다. 찬드라(Chandra)는 ‘달’ 또는 ‘빛을 내는’ 이란 뜻의 산스크리트 말이다.1999년 우주로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09
황산 등)를 넣은 다음 위에 시료를 놓은 것을 많이 사용한다 1564~1617 독일의 신학자 ·
천문학자
장주기(長周期) 변광성(變光星)의 발견자 신학을 공부하고 1584년 레스터하페의 프로테스탄트 목사가 되었으나, 천문학에 흥미를 가져 티코 브라헤가 있던 우라니보르크 천문대를 방문한 적도 있고, J ... ...
과학으로 베일 벗는 한국 고대사
과학동아
l
200409
최근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중국사의 일부로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움직임으로 연일 매스컴이 떠들썩하다. 우리 역사에 대한 확고한 인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한국사의 시작으로 잡고 있는 ‘고조선’ 만 하더라도, ‘단군조선’ 이 실재 했느냐의 문제를 놓 ... ...
블랙홀 둘러싼 거장과 신인의 싸움
과학동아
l
200409
없다. 1915년 그는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했다. 이듬해 당시 그다지 유명하지 않았던 독일
천문학자
칼 슈바르츠실트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이용해 블랙홀이 이론적으로 가능함을 밝혀냈다. 또 1930년 케임브리지에서 공부 중이던 20세의 ‘어린’ 과학자 수브라마냔 찬드라세카는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09
달은 약간 비대칭이다.‘고요의 바다’ ‘비의 바다’ 등 바다라고 불리는 곳은 초기에
천문학자
들이 마치 물이 말라버린 바다 밑바닥같이 보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일 뿐 달에는 실제로 바다가 없다. 생명체도 없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생명의 흔적이 전혀 없고, 유기화합물조차 없다. 지구와 가장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