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당구공에서부터 피아노 건반까지 생활물품의 훌륭한 재료였어요. 금속보다 가볍고 가공하기 쉬웠거든요. 하지만 사람들이 상아를 많이 사용하면서 코끼리의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이 문제였어요. 그래서 이후 플라스틱이 상아를 대신하게 됐답니다.뿔뿔의 크기와 모양은 동물마다 제각각이에요.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원석이는 아빠랑, 저는 엄마랑 참가했어요.Q 미리 코딩을 배웠나요?원석 : 평소에 코딩을 공부한 적은 없어요. 실과시간에 반끼리 단체로 수업을 들은 게 전부였어요. 5학년 1학기에 많이 들었고요.예원 : 저도 대회 전에 코딩으로 새로운 걸 만들어본 적은 없어요. 저는 엄마랑 대회에 나갔는데, 저희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같은 고등 수학을 가르쳐주면서 알게 됐다. 결국 아인슈타인은 중력에 의해 휘어진 시공간을 생각해냈고, 1916년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했다. 당시 아인슈타인은 “만일 내가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몰랐다면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 지구와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대해 더 정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 향후 몇 년 동안 LHC의 휘도(luminosity, 상호작용하는 공간 안에서 입자가 충돌하는 횟수)를 5배까지 높일 계획이며, 2035년까지 ATLAS와 CMS 검출기가 지금보다 50배 많은 정보를 생산하게 할 것이다.CERN에서는 LHC 이후 시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이유는 곤충의 호흡 방식에 있다. 곤충은 기공이라는 구멍을 통해 숨을 쉰다. 기공을 통해 들어간 산소는 몸 곳곳으로 퍼진다. 몸집이 크면 호흡하기가 더 어려워지는데, 대기 중 산소 포화도가 높으면 몸집을 좀 더 키워도 호흡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얘기하면, 산소 농도가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응집물리학은 물질을 분류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위상수학을 물리학에 접목시키는 데 성공했다. 뿐만 아니라 위상 양자계산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향후 위상-응집-양자계산을 아우르는 분야에 대한 노벨상 수상도 점쳐볼 만하다. 위상 부도체와 양자계산 이론을 주도한 인물들의 나이가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학에 투자하는 시간이 많아졌고, 저절로 잘하게 됐어요. 이때부터는 수학만 공부한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죠. 실제로 문과 과목은 잘 못했어요.”김 교수님은 수학을 잘하고 싶다면 생각을 많이 하라고 조언해줬어요. 문제를 풀 방법을 궁리하다 보면 저절로 수학은 잘하게 된대요. 그런데 수학을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없다.DPAA의 의뢰를 받아 DNA 분석을 진행하는 미군DNA 감식실험실의 2004년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으로 mtDNA 결과를 얻은 비율이 뼈에 따라 51%에서 94%까지 다양했다. DNA 검사를 위해선 뼈 일부를 잘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특히 작은 뼈의 경우, 결과를 얻기 위해 DNA 검사를 반복했다간 DNA 결과를 얻지도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화산 폭발로 인한 기후변화와 운석 충돌이 연이어 발생해 ‘원투펀치’로 공룡을 멸종으로 내몰았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7월 5일자에 발표했다.렌 교수팀은 데칸고원 용암대지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유카탄반도의 운석충돌 시기와 맞물려 있었으며, 데칸고원 화산의 70%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빨리 나아갈 방법을 계산할 수 있지는 않은지 궁금했다.“똑같아요. 다른 사람처럼 공이 오면 그쪽으로 달려가서 보내고 싶은 방향으로 칩니다. 액체의 운동을 다루는 유체역학을 안다고 수영을 잘하는 것도 아니에요. 원리는 알지만 실전하고는 전혀 상관이 없어요. 하하.”마지막으로 수학을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