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로스
횡단
d라이브러리
"
교차
"(으)로 총 522건 검색되었습니다.
Ⅰ여름에 즐길수 있는 연안의 파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경향으로 보아 파원(波源)까지의 거리를 알수있다. 또 봉선과 주파수 제로의 가로축
교차
점을 보면 파도가 발생한 시기도 알수있다(주기가 무한대인 파도는 이론적으로는 무한대로 빨라진다). 그림1의 파도의 발생원은 이런 원리로 추정된 것이다. 실제로 그곳에 폭풍이 있었다는 것은 그림3의 ... ...
Ⅱ바람과 바다의 협주곡-풍파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가진 통나무(파도)의 구르는 방향은 좌우대칭으로 두가지가 있게되며 이렇게 하여 서로
교차
하는 두개의 파도가 겹쳐진것이 바로 바람이 부는방향으로 나가는것처럼 보이는 마름모꼴의 파도를 만들게 된다. 풍파는 일반적으로 모양을 바꾸면서 나가는 대단히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다. 그것은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1백9종이다. 산양 곰 사향노루의 밀도 높아 북방계 분자와 남방계 분자가
교차
되는 설악산이지만 포유류에 있어서는 뚜렷한 구역적 분포를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희귀종인 산양 사향노루 곰 등은 다른 지역에 비해 밀도가 높으며 종족을 유지하고 있다. 또 대형종(大型種)은 인간의 간섭이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1백 20m 거리마다 망대가 있다. 이 성벽위의 길을 시간에 맞춰 병사가 순시했다.교통로와
교차
하는 지점에는 문이 달려 있는 막사건물이 있어 군인들이 주둔했다. 이런 문을 '관'(關) 또는 '구'(口)라 했다.그리고 중요지점은 이중 삼중으로 겹쳐 쌓은 데다 곳곳에 보루(堡壘·작은성)나 후(堠·망대 혹은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針狀結晶)가는 바늘모양의 얼음 여러개가 다발을 이루거나 두개가 X자 모양으로
교차
하여 기온이 비교적 높은 0℃부근에서 수증기가 풍부할때 내린다.◇각주상결정(角柱狀結晶)육방정계의 결정축(주축) 방향으로 발달하여 생긴 결정이다. 대기가 비교적 건조할때 내리며 그 결정이 비교적작다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저장링을 사용하여 두 입자빔을 반대방향으로 가속하여 링의 3~4군데에서 빔을
교차
시켜 이온빔간에 정면충돌을 일으켜 상대론적인 충돌 반응에너지를 높이기 위한 가속기이다. 이용분야와 필요성중세사회가 왕, 귀족, 농노로 분명히 나뉘어지듯이 우주의 모든 물질도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 ...
올해의 노벨과학상 8명의 과학자가 영예차지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연구했다.이 방법은 여러가지 분자를 작은 구멍을 통해 빔(다발)으로 쏘아
교차
시키고 그
교차
점에서 분자들이 충돌해 반응을 일으키게 해서 단위 화학반응을 알아내는 것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여러 단계의 단위 화학반응을 상세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초저압 아래에서 두 가지 물질 분자를 ... ...
PART ② 변화하는 조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바다의 짠물이 한달에 2회씩 서울까지 역류하여 들어 오는 까닭에 바닷물과 민물이
교차
하는 곳에서는 많은 미생물과 수서동물(水棲動物)등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서울의 한강에서 처음으로 바다의 갯지렁이가 발견되었다는 사실이다. 필자가 한강의 철새를 조사하던 중 1983년 9월 ... ...
서울의 교통체계 8각형
교차
로, 도시교통의 장애물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것을 증명해준다.교통기술이 서울의 교통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해 준다는 것은 아니지만
교차
로 운영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한다면 상당부분 개선될 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정부가 교통분야를 전문분야로 인정하여 인재를 배출하고 교통행정을 전문화해야 할 것이다 ... ...
식량문제를 해결해줄 수산자원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연안어장을 형성하고 있고, 동해는 난류인 쿠로시오 해류와 한류인 오야시오 해류가
교차
하는 곳이어서 많은 어류들이 모여들고 있다.따라서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많은 종류의 식량을 바다로부터 공급받아 오고 있다. 우리의 식탁을 살펴보면 김 미역 멸치 조기 명태 오징어 조개 등 하루 한끼라도 ... ...
이전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