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권력
위신
권세
체면
위엄
신망
세력
d라이브러리
"
권위
"(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3. 잠재의식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정도의 역사가 된 셈이다.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지금은 최면과 기억에 관한 가장
권위
있는 교과서로 미국에서 발간된 ‘최면과 기억’(1988)이라는 책에서도 그 임상적 효과를 인정하고,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라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보이지 않는 부분을 다루는 과학은 언제나 ... ...
타이태닉호 선체 인양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교수(1894), 생물학 및 물리광학 교수(1913) 눈의 초절기능 연구 및 눈의 통광학(通光學)의
권위
자로서, 눈의 수정체처럼 불균질(不均質)한 매체 속의 영상에 관한 광학을 개척했다 굴절광학계만으로 되어 있는 망원경 천체망원경으로서는 최초로 갈릴레이식 망원경이 만들어졌다 투명한 매질 속에서 ... ...
100%에이즈진단법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8월 10일 프랑스 레넥병원의 암센터 소장이자 세계적인 에이즈
권위
자로 알려진 앙드리외박사(55)와 동료인 중국계 연구원 루박사(35)가 내한했다. 이들이 개발한 새로운 ‘에이즈 진단법’의 특허를 국내 의료 기관에 이전하는 문제를 상의하기 위해서였다. 이 진단법은 지난 7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 ...
1. 먹거리의 대차대조표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까다롭고 신중하다. 그 허용량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식량농업기구가 위촉한
권위
있는 과학자 수백명이 보통 2년여의 실험결과를 토대로 회의에 회의를 거듭해 정한다.회의 대변인은 "실험쥐에서 안전치를 구한 다음 그 수치의 1백분의1 이하로 사용량을 규제하므로 일생동안 매일 먹어도 아무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싸움을 펼쳤던 것으로 추측된다. 수컷들은 머리를 낮춰 목장식을 경쟁자에게 보임으로써
권위
를 표시했고, 목장식을 좌우로 흔들어 경쟁자를 물러가게 했다.켄트로사우루스(Centrosaurus)몸길이 6.1m. 몸무게 2.7t. 백악기(7천5백만년 전). 캐나다 앨버타에서 발견.스티라코사우루스(Styracosaurus)몸길이 5.5m. ... ...
아들 지능 엄마가 물려준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헌터유전학연구소가 어떤 곳인지, 이 기사를 게재한 의학잡지 랜셋은 어느 정도의
권위
를 가지고 있는지, 잡지에 실린 기사의 성격이 연구논문인지, 아니면 에세이성 기사인지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그 결과 기사는 ‘흥미’ 만을 강조, 가십성으로 흘렀다. 어떤 신문은 제목을 아예 ‘아들 ... ...
화학전공으로 물리학 교수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전환점이 생겼다. 논문을 읽은 저명한 물리학교수 한분이 미국 물리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에 투고하기를 권했던 것이다. "설마 받아줄까"하고 보냈던 논문이 게재됐다. 또 이 논문을 보고 자기 실험결과를 설명할 수 있었다는 노스캐롤라이나대학의 물리학 교수가 자기 대학에서 강의해 줄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의존하면서 진행됐다. 그래서 각각의 주장에는 임시변통적인 가설이 자주 등장했다.뉴턴
권위
로 우위 점해빛의 가장 명료한 성질은 직진이다. 논쟁 초기에 파동설은 빛의 직진을 잘 설명하지 못했다. 이에 비해 입자설에서 빛의 직진을 설명하는 것은 간단하다. 뉴턴의 관성의 법칙에 따르면, 입자는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뉴저지주 뉴브룬즈위크의 럿거스대학 해양해안학연구소 책임자이며 이 분야의
권위
자다. 그는 신비로운 심해저가 지구의 운명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암시를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종의 다양성은 지구의 변화를 알려주는 가장 민감한 지표 가운데 하나다. 다양성을 갖고 있으면서 우림이나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84년 이후 5년 간. 중미 코스타리카에서 수행했다. 지도교수는 세계적으로 개미연구의
권위
자로 인정받는 명망가였다. 필자는 이외에도 딱정벌레 벌 박쥐 등의 생태에 조예가 깊다.인류가 최초로 농사를 짓기 시작한 것은 지금부터 약 1만년 전이다. 이는 산업혁명과 더불어 우리 인간을 이 지구에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