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긱블x과학동아] 게임 속 지팡이의 화려한 변신, 버블건 & 5연발 리볼버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마음으로 설명해줍니다.“두 개의 스테인리스 관을 잇기 위해 용접할 땐 양쪽 입구를
꼭
막아놔야 해요. 용접할 때 관이 엄청나게 뜨거워지기 때문이에요. 양쪽 입구가 막혀 있지 않고 열려 있으면 용접 중에 열로 인해 관 전체가 휘어질 수 있어요. 이걸 방지하려고 반대쪽 관 끝을 마구리캡이란 ... ...
[과동키즈] 어린 날에 바라보던 저 달은 여전한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시작했다. 찬란히 반짝이는 별들이 사진 속에 예쁘게 담겨 있었다.“별 사진을 찍기 위해
꼭
특별한 장소를 찾아가야 하는 건 아니에요. 그저 여러분이 알고 있는 가장 어두운 장소를 찾아가세요. 어떤 별빛은 너무 약해서 우리 눈으로도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렌즈를 열고 오랜 시간 기다리다 보면 ... ...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얻을 수 있답니다.”남자는 고개를 끄덕였어요. 꿀록 탐정은 힘을 내라는 듯 두 손을
꼭
붙잡고 응원의 말을 덧붙였어요. “비록 뇌의 일부는 사라졌지만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어요! 우리 뇌는 유연하니까요. 당신은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답니다.” ... ...
[이달의 책] 당신을 열 번째 과학카페로 안내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할 원석을 찾기란 쉽지 않다.이 책 속에서 지난 1년간 우리를 스쳐 간 과학 이슈 중
꼭
기억할 원석을 확인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포털에 지난해 연재된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럼을 한데 모았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는 10년 이상 인기리에 연재중인 국내 대표적인 과학 에세이로, 강 작가는 매년 ... ...
[기획] 도시와 공존하는 폐기물 처리 기술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위한 기술을 꼽았다. 어떻게 하면 폐기물에서 자원을 최대한 뽑아내고 안정화해서
꼭
필요한 폐기물만 매립할지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기술 후보 중 하나가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이다. 이동훈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명예교수는 폐기물의 에너지화 기술로 크게 기계적-생물적 처리(MBT)를 ... ...
기계학습에 연립방정식이 들어온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바탕으로 학생의 수준을 고려해 문제를 추천하는 방식이죠.기계학습에는 선형대수학이
꼭
필요합니다. 기계학습으로 데이터를 분류하는 작업은 데이터 분포를 이동하거나 회전시키는 등 변형하는 방식을 통해 진행되는데, 행렬 계산은 선형대수학에서 점(데이터)의 위치를 바꾸는 데 쓰여요. 이때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대칭과 주사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각 면에 1부터 6까지의 숫자가 적혀있고 마주 보는 면의 합이 7입니다. 하지만 주사위가
꼭
정육면체 모양일 필요는 없습니다. 주사위는 공정한 확률을 배정할 수 있는 도구이기만 하면 되죠. 다면체를 이루는 각 면이 나올 확률을 같게 만든다면 모두 주사위가 될 수 있습니다. 동전도 던질 때 ... ...
[과동프렌즈] 철통 보안 암호 만드는 프로그래머가 꿈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실력이 는다”고 말했다. 또 그는 “입시 학원에서 서술형 답안을 쓸 때 필수 단어를
꼭
넣어서 최대한 길게 쓰라고 가르쳐 주는데, 그보다는 필요한 내용만 간결히 써서 말하려는 바를 분명하게 전달하는 게 높은 점수를 받는 데 유리한 것 같다”고 말했다.입시를 준비하며 잠시 소홀히 했던 ... ...
[수학기자의 책장] 세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도구, 단위!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만약 이 세상에 단위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시간을 몰라 약속을 잡을 수 없고, 정확한 무게와 길이를 알지 못해 물 한 잔을 달라는 부탁에도 다르게 반응할 겁니 ... 흥미로운 함수 이야기를 통해 알려준다. ‘그래서 함수가 뭐예요?’라는 의문을 가져본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자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교수님은 식물세밀화 관련 자료를 보실 때마다 내게 알려주셨는데, 과학동아의 기사를
꼭
보라며 내게 공유했다. 당시 식물세밀화는 잘 알려지지 않은 분야였는데, 식물세밀화와 식물세밀화가에 관한 내용이 비교적 상세히 소개돼 있어 반복해 읽었던 기억이 있다. Q3 과학동아를 통해 얻은 것이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