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별자리"(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이 현상을 도저히 설명할 수 없음을 알아냈다. 2월 북쪽 밤하늘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별자리인 큰곰자리의 북두칠성이 동쪽에서 국자의 바가지를 하늘로 향하여 서있고, 서쪽에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W자 모양이 엎어진 모습에서 똑바른 모습으로 되돌아가려는듯이 점점 북극성을 중심으로 ... ...
- 3.3년 주기 엥케혜성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땅은 하얀 눈으로 뒤덮여 있고, 까만 밤하늘은 별들로 뒤덮여 있어, 외로이 우주를 바라보는 내가 더욱더 작아지는 느낌이 드는 때다. 새해 첫날 내가 혼자가 아님을 알려주며 ... 기하학적 모양을 우리는 겨울철의 대삼각형이라 부르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별자리를 찾게 된다 ... ...
- 천체관측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달의 그림으로 표시)도 표시돼 있어 교육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또한 행성관측요령도 별자리그림과 함께 실려 있어 초보자들도 손쉽게 별과 행성을 관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외에도 일월식 유성우 혜성 등 주목받는 천체현상들의 해당 날짜가 표시돼 있다. 1994년 천문달력의 발간대행사는 ... ...
-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예수탄생을 알리는 베들레헴별이라는 것. 그 근거로는 당시 점성술에 자주 등장하는 별자리는 물고기자리가 아니고 미라가 포함된 고래자리였다는 사실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 미라의 주기는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2천년 전의 정확한 극대기를 예상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는 반론이 있다 ...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과학동아 l1993년 12호
- 가까울수록 별이 잘 찍힌다.보통의 경우 고정촬영을 할 때는 별의 광적이 나오게 되지만 별자리의 모양이나 소행성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별을 점상으로 찍어야 하므로 노출시간을 짧게 주어야 한다.일주운동에 따른 별 광적이 필름면에서 점상으로 나타나게 하려면 필름 면에서의 광적이 0.02~0.0 ...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따르는 가을 겨울의 별자리를 계속 볼수 있는데, 새벽녘 동쪽하늘까지 관측한다면 어느 별자리까지 볼 수 있을까? 해뜨기 1시간 30분 전까지는 관측이 가능하므로 태양보다 적경이 1시간 30분 작은 천칭자리(적경 15시30분)까지 볼 수 있을 것이다.이렇게 계산하는 방법은 태양도 하나의 별이라 ...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과학동아 l1993년 11호
- 물질)에 따라 정해진 경로를 밟아가는 것이 별의 일생이다. 요즘밤 자정 쯤 되면 오리온별자리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플람스티드의 성도에서 보면(그림1) 오리온 사냥꾼이 오른쪽 손에 칼을 높이 들고 있는 어깨에 붉은색의 베텔규스가 있고 왼쪽 발등에는 청색의 리겔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겨울로 옮겨야 하며, 전국 차원보다는 몇개의 대도시를 세분하여 운영해야 한다는 것. 별자리 관축을 통한 광공해 측정은 날씨조건이 중요한데 전국을 동일조건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이 강조됐다. 올해 서울과 부산 주변을 선정했다면 다음해는 대구와 광주 주변을 한다든가 해서 밀도있는 관측이 ...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최신호의 천문, 과학잡지를 참고하는 것이다. 화성 목성 토성 등의 크고 밝은 행성들은 별자리와 비교하여 그 위치를 조금만 익히면 표시되어 있는 그 주변에서 항성과 구별하여 어느 별이 행성인지를 간단히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천체망원경으로 보면 이들 행성은 항성과 확연히 구별된다. 또한 ...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상상을 하면서 하늘을 자세히 쳐다보다 보면 이 추위를 잊을 수 있을 것이다.겨울철의 별자리들은 이 유성우의 복사점을 둘러싸고 있다. 하늘에서 이 지역을 겨울나라라 하고 복사점 이나라의 수도라 하자. 그러면 마치 임금님이 계시는 궁전(복사점)은 보이지 않는 보호막으로 위장되어 있고,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