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정도입니다. 이를 논리적으로 프로그래밍하기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래서 컴퓨터
신경
망 프로그램은 ‘물’이라는 수많은 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뒤 이 모든 데이터가 ‘물’이라는 말을 뜻하는 것이라고 학습합니다. 학습량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컴퓨터 프로그램은 발음, 길이, 억양에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눈동자와 머리카락, 피부 등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과 뇌에서 흥분을 전달하는
신경
활성물질인 도파민 등이 카테콜 작용기를 갖고 있다.이 중 멜라닌은 카테콜 작용기를 갖는 전구체 물질이 단일 분자로 존재하다가 어느 순간 서로 결합하면서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홍 교수팀은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전송한답니다. 그러면 이 신호가 달팽이관까지 이어진 전극을 따라 달팽이관 속 청각
신경
으로 전달돼 마침내 소리를 들을 수 있지요. 최근 과학자들은 크기와 전력 소모를 줄여 몸속에 이식할 수 있는 인공와우를 개발 중이랍니다. 무선 이어폰을 둘러싼 건강 논란지난 3월, 한 뉴스 기사가 SNS를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즐길 때 수학 아이디어가 더 잘 떠오르는 건 어쩌면 너무나 당연할 지도 몰라요. 2001년
신경
학자인 마커스 라이클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취미 생활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더 활발해지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뇌의 바깥쪽 측두엽과 두정엽, 안쪽 전전두엽을 일컫는 ‘디폴트 ... ...
[과학뉴스] 만성스트레스가 뇌
신경
질환 유발? 핵심 유전자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치료하는 열쇠가 SKG3 유전자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SKG3의 작용을 억제해 뇌
신경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 10.1080/15548627.2019.163022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인지는 세 단계를 거친다. 눈으로 철자를 확인하면 이는 시각 자극이 된다. 이 자극이
신경
세포를 거쳐 뇌로 전달되면서 후보 어휘들을 활성화시킨다. 다양한 후보 어휘들은 경쟁을 거치고 가장 활성화된 어휘가 선택된다. 이를 ‘철자기반인식경로’라고 한다. 다양한 후보 어휘 중에서 하나의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고양이와 강아지 사진이 많이 입력돼 학습을 열심히 한
신경
망 프로그램은 나중에 어떤 사진을 보더라도 사진 속 동물이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잘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바로 ‘딥러닝(Deep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 데이터는 석유와 비슷 현재 딥러닝을 ... ...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기왕이면 예쁘고 재밌는 사진이나 영상을 보낼 수 있도록 사진을 꾸미는 ‘필터’에도
신경
을 썼습니다. 머리띠와 강아지 귀 같은 장식을 얹는 필터를 비롯해 수많은 필터가 있죠. 그 중에서도 아기 필터가 국내에서 화제가 됩니다. 아기 필터는 얼굴 찾는 기술 활용의 좋은 예얼굴을 순식간에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
망 지도 각각 완성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신경
계는 인간의
신경
계와 동일한 분자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가 인간의
신경
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doi: 10.1038/s41586-019-1352- ...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
세포’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3분의 1이 일정한 리듬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신혜영 브라운대
신경
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감마파가 뉴런의 리듬을 조율하는 메트로놈 역할을 한다는 가설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라며 “사람에게도 감마파 리듬이 존재하는 만큼 이번에 발견한 뉴런이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