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온 과학자 300여 명이 아이스큐브 팀을 결성했다. 그리고 2010년, 남극점 인근 아문센 스콧 연구소 지하 1450~2450m에 관측소를 설립했다. 관측소 그 자체인 순수한 얼음에는 총 86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에 전자 광학 모듈을 각각 60개씩 줄에 묶어 설치했다. 이렇게 설치된 전자 광학 모듈의 ... ...
- [이달의 이슈] 기후변화로 더 날카로워졌다...전세계를 덮친 산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산불 발생 건수가 늘지 않았거나 오히려 감소했다.2020년 5월 중국 환경생태과학연구소를 비롯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아프리카에서 일어난 산불을 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16년까지 아프리카의 산불 피해 면적은 초반에는 증가했지만, 이후 감소했다. 연구팀은 그 이유로 강수량의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암흑물질이 없는 영역을 하나씩 지워나가며 암흑물질을 탐색한다. 한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은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한 실험장치, 대형강입자충돌기(LHC·Large Hadron Collider)를 가동해 암흑물질을 직접 만들어내겠다고 나섰다. 남극에선 각국의 과학자들이 모여 빙하를 이용해 암흑물질의 흔적을 ... ...
- 지자체ㆍ대학ㆍ기업이 만들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DSC 공유대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복수학위를 받게 된다. 협력 기업에 취업할 때 혜택도 있다.공유대학은 학교를 넘어 연구소와 기업으로 교육의 기회를 확장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교수뿐만 아니라 기업 임원과 연구자들의 강의도 개설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등 ... ...
- [기획] 다리가 다글다글! 다지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아이코, 깜짝이야! 놀랐니? 지네부터 노래기까지, 우리는 다리 많기로 이름난 다지류! 왜 이렇게 징그럽게 생겼냐고, 곤충 아니냐고 오해를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우리는 4억 년이 넘는 오랜 역사를 지닌 동물이라고. 우리에 대해 알면 알수록 다지류가 색다르게 보일걸?지금부터 꼬물꼬물 ... ...
- [2022 필즈상 예측] 확률론계의 모차르트, 기호 4 위고 뒤미닐-코팽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수학자에게 ‘처음 보는 증명 방법이다’라는 말을 듣는 건 최고의 칭찬인데,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는 그런 말을 많이 듣는 수학자입니다.” 강남규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는 뒤미닐-코팽 교수를 ‘확률계의 모차르트’에 비유하며 이같이 말했어요. 그만큼 뛰어난 연구를 많이 했다는 뜻이 ... ...
- [기획] 다지류 보면 볼수록 귀여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왜 연구를 하는 걸까? 다지류의 어떤 점이 매력적인 걸까? ●인터뷰 임길영(한국다지류연구소 소장)“우리나라에도 발견되지 않은 노래기가 엄청 많을 겁니다!” Q어떻게 다지류 연구를 시작하셨나요? 저는 1980년대 후반 중학교 생물 선생님으로 일하면서 노래기 연구를 시작했어요. ...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 ... ...
- [과학뉴스] '내핵=고체' 공식 깨졌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마치 액체처럼 움직이는 상태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과학원 지질화학연구소(IGCAS)팀은 지구 내핵 안에서 철 합금이 초이온 상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9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1-04361-x 초이온 상태는 액체이자 ... ...
- [서펑] 유전자 편집 기술의 중심에 선 과학자 '제니퍼 다우드나'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다우드나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 기술을 두고 장 펑 미국 MIT-하버드 브로드연구소 교수와 수 년 동안 특허 전쟁을 벌이고 있다. 2012년 6월 크리스퍼-캐스9이 원핵세포에서 성공적으로 유전자 편집을 한다는 것을 다우드나 교수와 샤르팡티에 교수가 처음 발표했다. 이후 전 세계 많은 연구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