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복부비만 같은 고질적인 직업병이 생길 수도 있지요. 그래서 수학자들은 공동연구자와 가볍게 산책하며 의견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당한 운동과 야외 활동은 머리를 맑게 해주니까요. 가벼운 조깅이나 수영을 즐기는 것을 넘어서 마라톤이나 철인3종경기 같은 취미를 즐기는 수학자도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한 종류는 미지의 특이성을 보였다. 후자는 골수종세포에서 유래한 항체였다. 이후 두 연구자는 항체 발현 능력을 상실한 골수종세포를 분리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그들은 이를 활용해 단 하나의 항원 결정 부위에만 반응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탄생시켰다. 단일클론항체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부착 및 침투억제제다. 하지만 헤르페스바이러스와 HIV 등의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했던 연구자들에게도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할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쉽지 않은 과제였다. 중증환자와 사망자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항바이러스제 개발은 지지부진했다. 사스의 경우 폐렴을 완화할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알 수 있듯 DNA, RNA 같은 핵산이 주성분이다. 유전공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백신 연구자들은 바이러스의 항원을 발현하는 염기서열 전체 또는 일부를 합성할 수 있게 됐고, 이를 이용해 핵산 백신이 등장했다. 핵산 백신은 세포 속으로 들어가 세포가 항원 단백질을 생산하게 만들고, 이렇게 생산된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는 치명적인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다. 오늘날 연구자들이 위험한 물질을 다룰 때 사용하는 생물안전작업대(biohazard hood) 같은 장비가 당시에는 없었기 때문에 가까스로 감염을 피해가며 연구했던 기억이 있다.LCMV는 여러모로 특별한 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 ...
- [별헤는수학] ‘외계행성 탐험대’, ‘행성 사냥꾼:테스’ 태양계 밖에서 행성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외계행성을 분석해서 논문을 작성할 때는 가장 큰 기여를 한 시민천문학자의 이름을 연구자 명단에 넣기도 한답니다. 천문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아도 천문학자의 연구에 기여하고, 논문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니 멋지지 않나요? 여러분도 지금 바로 외계행성 탐색을 시작하세요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의 역할을 규명한 파울 에를리히와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에게 돌아갔다. 두 연구자의 연구 분야는 달랐다. 에를리히는 디프테리아의 혈청 치료법을 완성했다. 디프테리아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에 의해 발생한다. 혈청 치료법은 병원체에 대한 면역성을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검증해 접종부터 할지는 신종 감염병이 창궐할 때마다 반복되는 고민이다. 현재 대부분 연구자는 부작용과 효능에 대해 충분한 검증이 이뤄진 뒤 백신을 허가하고 접종해야 한다고 말한다.그럼에도 때로는 단호한 결단이 감염병으로부터 많은 이들을 구하기도 한다. 에볼라 백신이 그 주인공이다. 2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는지 연구자가 시민에게 알려준다는 장점이 있지요. 롤리 연구원도 “지사탐 앱은 연구자가 주도해 특정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시민들이 모으는 것이 놀랍다”고 평가했습니다. 한편, 호주에는 개구리 외에도 기후변화와 조류 등 다양한 시민과학 모임이 오래도록 지속되고 있었습니다. 이런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않았다. 낙타와의 접촉이 메르스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는데, 낙타는 중간 숙주다. 연구자들은 사스와 마찬가지로 메르스도 박쥐에서 전파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즉 박쥐를 먹은 사향고양이가 사스코로나바이러스를 퍼뜨린 것처럼, 박쥐와 접촉한 낙타가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를 전파했다는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