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노래에는 아무 정보도 주지 않았어. 이걸 행렬이라는 수학적 표기법으로 적으면 오른쪽 그림과 같지. 이제 컴퓨터가 할 일은 빈칸에 0이 들어갈지 1이 들어갈지 맞히는 일이야.이건 통계학의 오랜 숙제인 잃어버린 데이터를 예측하는 문제와 같아. 데이터를 전부 구하지 못했거나 실수로 빠뜨렸을 ... ...
- [Issue] 봄 산불, 해충이 막는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리 치거나 땅 위의 마른 낙엽을 긁어낸다. 불이 퍼져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저지선(오른쪽 사진, 초목 제거)을 만들기도 한다. 장기적으로는 불에 덜 타거나, 타더라도 유독한 물질을 덜 뿜어내는 나무 종을 선별해 심는 ‘숲 가꾸기’를 한다.과학자들이 산불 위험도를 예측할 때 고려하는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화석 수집가 프랜시스 툴리(오른쪽 사진)가 1955년 여름, 미국 일리노이 주 마존 강 화석 지층에서 화석 수집을 시작했을 때, 그는 자신의 이름이 고생물학 역사에 영원히 새겨질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는 진흙 더미를 샅샅이 뒤졌고, 특이한 돌덩이 두 개를 발견했다. 조각난 돌 안에는 ... ...
- [게임카페] 휙, 휙~ 요리조리 피한다! 피하기 게임 디자인 上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디자인해 볼게요. 즉 게임 요소와 규칙은 그대로 하고 게임 공간만 다르게 바꾸는 거예요.오른쪽 그림과 같이 출발점에서 집까지 천적을 피해 가는 길을 찾아가는 게임을 디자인할 수 있어요. 게임플레이어는 사각형 연못에 있는 천적과 마주치치 않게 길을 찾아 가면 돼요. 연못의 개수와 등장하는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두면 납치범은 하림이 환풍구 속으로 도망간 줄 알 터였다.문 밖으로 나와 왼쪽으로 갈지 오른쪽으로 갈지 잠시 고민했다. 이 곳을 전혀 모르는 상태라 순전히 운에 맡기는 수밖에 없었다.‘동전이라도 던져야 하나….’그때였다.오른쪽 복도에서 발걸음 소리가 들렸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 ...
- [수학뉴스] 수학의 모든 것 지도 한 장에 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같은 수학의 기본 요소와 위상수학, 대수학, 기하학 같은 순수수학 분야를 소개합니다. 오른쪽 푸른색부분은 알파고로 유명세를 탄 머신러닝과 산업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최적화 이론처럼 다른 분야에 수학을 활용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월리먼이 만든 수학 지도는 사진 공유 사이트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섬 동부에 서식하는 또 다른 여우원숭이 종은 땅 속에 굴을 파고 들어가 겨울잠을 잔다(오른쪽).서부와 달리 동부의 토양은 맨손으로 팔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럽기 때문이다. 나무 구멍에 비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포식자 눈에 띌 위험도 적다. 연구팀은 살찐꼬리난쟁이 여우원숭이 3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곱하면 수신기까지 거리 r1을 알 수 있다. 인공위성에서 r1만큼 떨어진 점을 모두 이으면 오른쪽 그림처럼 구 모양이 된다.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두 개의 인공위성에서 각각 r2, r3만큼 떨어진 점을 이으면 세 가지구의 방정식이 나온다. 위성 A,B,C의 위치를 각각 (a1, b1, c1), (a2, b2, c2), (a3, b3, c3)라 할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물리학자 헨리 브래그와 로렌스 브래그 부자는 이를 수학적으로 정리해 ‘브래그 조건(오른쪽 그림 참고)’을 만족할 때 이런 무늬가 나타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한 공로로 191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물질의 구조를 분석하려면 회절 무늬를 분석해야 한다. 이때 ‘푸리에 변환★’을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편차가 2000년대 들면서 일정해진다. 반면 UAH 위성으로 측정한하층 대기 온도 데이터(오른쪽)는 평균 대비 기온 편차가 점점 커진다. FACT A이들이 제시한 근거는 지표와 해수면의 온도를 종합한 온도 데이터인 ‘HadCRUT3’이다. 실제로 2002년 이후 온도가 비교적 일정하다. 그러나 HadCRUT3은 2012년 중반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