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핵인"(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지난 1월 한국공공정자은행연구원(아래 정자은행 연구원)이 부산시로부터 재단법인으로 설립을 허가받았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국립, 공공 또는 상업 등의 어떠한 정자은행 체계도 없었다. 이에 박남철 부산대병원 비뇨기과 교수와 서주태 단국대 의대 비뇨기과 교수는 지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동그라미가 빼곡히 들어차있는 그림, 뾰족한 바늘 끝. 이것들이 당장 누군가를 해치는 것도 아닌데 어떤 사람들은 극심한 공포를 느낀다. 고소공포증, 선단공포증, 환공포증 등 흔히 생각하는 공포증은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이라 불린다. 하도 많다보니 공포증이 흔한 것 같지만 우리나라에 ...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중간계투 투수가 선발투수가 만든 리드를 마무리투수에게 성공적으로 넘겨줬음을 뜻하는 ‘홀드’라는 야구 기록이 있다. 투구수가 적어 오랫동안 괄시됐던 홀드는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안상준 UNIST 기계및원자력공학부 교수는 원자력이 에너지계의 ‘홀드왕’이 되길 바란다. “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996년 9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이 국제연합(UN) 총회에서 결의됐다. 이 조약은 현재까지 183개국이 서명했다. 이전까지 2000여 건이 넘게 진행됐던 핵실험은 이 조약 이후로 지구상에서 거의 자취를 감췄다. 20년이 흐르는 동안 실시된 핵실험은 불과 여덟 번. 하지만 이 가운데 절반인 네 번이 북한의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터뷰 전날 있었던 북한의 핵실험 발표 때문인지 황용석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바빠 보였다. “저는 핵융합 전공인데, 다들 핵분열 반응에 대해 묻네요. 핵폭탄의 이미지가 너무 강하다 보니 핵공학이라고 하면 다들 위험하다고 먼저 생각하는 것이 조금 안타깝습니다.” 취재에 동행한 기 ... ...
- PART 2. ‘기술장벽’은 더 이상 해결책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핵무기로 2차 세계 대전을 끝낸 미국은 전쟁 후에는, 아이러니하게도 핵무기를 걱정하는 신세가 됐다. 이념으로 서방과 갈라선 구 소련과 중국이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두려워한 것이다. 당시 미국 정치인과 정보부가 고안해낸 해결책은 ‘기술적 장벽’이었다.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이 원체 어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중과학수사는 물에서 시작하지만, 물 밖까지 이어진다. 수중과학수사대가 찾은 증거를 육상에서 분석하는 연구도 중요하다. 전북지방경찰청(이하 전북청) 과학수사대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수중증거·사체 분석실험을 했다. 유전자, 지문, 부패 세 분야에 걸친 실험은 기존 과학수사와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난해 12월 31일,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연맹(IUPAC)과 국제 순수 및 응용물리학연맹(IUPAP)은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의 니시나 가속기연구센터(RNC) 모리타 고스케 박사(오른쪽 사진)팀에게 113번 원소(임시명:Uut, 우눈트륨)에 대한 명명권을 부여했다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존재가 드러난 118개 원소 중 ...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모든 뉴런 중 단 한 가지 종류의 뉴런을 비활성화(또는 활성화)하는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_프랜시스 크릭, 1979년 DNA 이중나선을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이 30여 년 전에 남긴 말은 ‘광유전학’을 정확히 예언했다. 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뉴런의 활동을 자극 혹은 억제하는 기술로, 불과 10년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패딩 점퍼의 계절이 돌아왔다. 두툼한 구스 다운 패딩은 든든하고 따뜻하지만, 동물 학대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렇다고 패딩을 포기할 수는 없는 일. 동물과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따뜻한 겨울을 책임져 줄 ‘착한 패딩’은 없을까?이맘때 불티나게 팔리는 구스나 덕 다운 패딩은 거위나 ... ...
이전4849505152535455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