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소
성분
요소
뉴스
"
구성분자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
2019.11.07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의 갈등 그리고 노벨상 1975년, 한국 엔지니어회관 개관기념 리셉션에서 기념케이크를 자르는 당시 김종필 국무총리와 최형섭 과학기술처장관의 모습. 연합뉴스 제공 “과학기술처 장관 5년째로 접어들어 나는 그만두기 전에 기초연구를 강화하는 방안, 특히 대학의 연구를 ... ...
그래핀 전기적 성질 높일 '질소도핑' 기발한 방법으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쇠구슬을 이용해 그래핀을 쉽게 도핑할 방법을 개발한 백종범 UNIST 교수(왼쪽)과 한가오펑 연구원이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UNIST 제공 전기가 잘 통하고 쉽게 휘어져 차세대 전자소자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그래핀의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질소를 불순물로 섞는 공정(질소 도핑)이 널리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사체가 알려주는 녹색식물의 진화과정
동아사이언스
l
2019.11.02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푸른 녹색을 가진 식물들의 모습을 31일 표지로 실었다. 이 식물들은 지구에 사는 약 50만종의 녹색 식물 종류 중 일부이다. 녹색식물은 엽록소를 가지고 있으며 광홥성에 의해 녹말을 만들 수 있는 식물로 정의된다. 물에 사는 녹조류, 육상에 사는 이끼류, 양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케플러의 행성법칙
2019.10.31
케플러의 면적속도 일정의 법칙은 우리 일상에서도 쉽게 경험할 수 있다. 피겨 스케이팅에 스핀 동작이 있다. 김연아 선수의 주특기인 3회전 점프 모습. 연합뉴스 제공 요하네스 케플러는 20대에 《우주의 신비》를 쓸 때부터 스승인 티코 브라헤와 달리 태양중심설을 신봉했다. 케플러가 수년에 걸 ... ...
면역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핵산 복합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곽민석(왼쪽) 부경대 화학과 교수와 진준오(오른쪽) 영남대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면역세포의 항암능력을 높이는 핵산 복합물질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생체분자를 활용해 암세포만 골라 면역세포 활성화시키는 복합물질을 개발했다. 암세포만 선별적으로 공격하는 ... ...
기원전 660년 이라크에 '오로라'… 세계 최고 기록 확인
연합뉴스
l
2019.10.29
일 연구팀. '앗시리아 점토판 쐐기문자 분석' 기록 찾아내 원전 660년께 현재의 이라크 북부 지역인 고대 앗시리아에 오로라(aurora)로 보이는 천문현상이 나타난 사실을 적어 놓은 기록이 발견됐다. 당시의 천문현상을 기록한 점토판에 쐐기문자로 기록돼 있다고 한다. 기존에 알려졌던 가장 오래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된 뼛조각 2315개의 콜라겐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사람 뼈는 단 하나였다(사진. 여러 각도에서 찍었다). 여기서 DNA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엄마가 네안데르탈인이고 아빠는 데니소바인인 여성이라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지난해 9월 학술지 ‘네이 ... ...
한미연구팀, 세포들이 넓은 공간에서 소통하는 방법 발견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KAIST는 김재경 수리과학과 교수와 매튜 베넷 미국 라이스대 교수, 크레시미르 조식 미국 휴스턴대 교수 연구팀이 합성생물학과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세포들이 넓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하는 방법을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KAIST 제공 세포들은 신호전달분자를 이용해 서로 소통한다.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4人의 과학자가 말하는 2019노벨상의 의미 9일 오전(현지 시간) 스웨덴 왕립과학원에서 2019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휴대전화부터 전기자동차까지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소재를 개발한 화학자들이 수상했다. 노벨위원회 발표 영상 캡처 올해 노벨 과학상 발표가 7∼9일 ... ...
오른손-왼손 대칭 같은 괴짜물질 광학이성질체 쉽고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김현우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핵자기공명(NMR) 분광분석기로 광학이성질체의 구조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KAIST 제공 일본이 절반을 점유하고 있는 광학이성질체 분석기술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광학이성질체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현우 KAIST 화학과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