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선
방사
복사선
뉴스
"
방사능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 후보물질 골라내는 데 현미경 하나면 끝!
2015.06.22
지금까지 물질이 세포막에 붙는지 알기 위해서는 수용체 단백질을 세포막에서 직접 꺼내
방사능
물질이나 금 등으로 이 단백질과 신약 후보물질의 결합 여부를 측정했다. 이는 실험 자체도 번거롭지만 비용이 회당 30만~60만 원 정도 든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방법을 쓰면 단백질 정제 과정이 ... ...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하나
2015.06.19
15~20년 걸려 고리 1호기는 직접 해체 과정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원전에서
방사능
오염이 가장 심한 원자로는 오염 정도가 자연적으로 감소할 때까지 기다리는 지연해체 방식이 절충된 형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문제권 한국원자력연구원 제염해체연구부장은 “원자로는 원격조종 ... ...
국내 첫 원전 ‘고리 1호기’ 37년 만에 폐쇄
2015.06.12
한국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원전 1호기가 가동 37년 만에 폐쇄될 것으로 보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 ... 현장을 직접 다녀왔습니다. 해당 기사를 소개합니다. [관련기사] , 동아사이언스 2015년 01월 30일자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정확한 원전 보도, "균형잡힌 시각과 '데이터'가 핵심"
과학동아
l
2015.06.11
드나들며 꾸준히 칼럼을 기고하고 있는 우에다 위원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대규모
방사능
피해 역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며 “전례 없는 광범위한 연구로, 후쿠시마 사태와 후속 연구는 이제 제2의 국면에 들어섰다”고 평했다. 인도네시아 과학기자협회 이사 해리 수르야디 기자는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원자력은 미래 에너지 가교 역할”
2015.06.10
환경을 고려하면 파이로프로세싱 기술이 가장 적합할 것”이라며 “원자력발전이
방사능
폐기물의 배출과 같은 치명적 단점이 있어도 미래 에너지원이 확실히 자리잡을 때까지 가교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올해 3월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한 중소형원자로 ‘스마트’에 ... ...
한반도 바다, 방사성 오염에서 문제 없나
2015.04.24
● 일본 해역 1억mBq에서 최근 100mBq로 한반도 인근 해역과 맞닿아있는 일본 해역의
방사능
농도는 훨씬 높다. 일본 정부는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성 물질이 바다로 대량 유출된 뒤 일주일에 한 번씩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측정해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사고 원전에서는 여전히 ... ...
못돌아오는 화성 프로젝트 연기, 우주
방사능
걷잡을 수 없어…
동아닷컴
l
2015.03.23
[동아닷컴] 못돌아오는 화성 정착 프로젝트 ‘마스원’의 전체 일정이 2년 연기됐다. 19일(현지시각) 마스원의 공동설립자 바스 란스도르프는 “못돌아오는 화성 정착 프로젝트는 투자 문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연기됐다”면서 “전체 일정이 2년 씩 순차적으로 연기될 것”이라 말했다. 다만 그는 ... ...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로버 안쪽의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돼요. 또한 우주에서 오는 뜨거운 태양열과
방사능
을 막는 역할도 한답니다. 금박과 그물을 층층이 쌓아 만든 다중 단열재(MLI)의 모습.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그런데 실제로 달에 갈 로버는 은빛이 아닌 금빛을 낼 거라고 해요. MLI를 알루미늄박 대신 ... ...
방사능
오염 토양에서 건강하게 식물 자랄 수 있다
2015.03.05
세슘에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식물(위쪽). 성장이 더디고, 잎이 병든 모습이 보인다. 반면 세스톨렌A와 함께 재배한 경우 식물 성장과 잎 건강 모두 개선됐다(아래). - 일본 이화학연구소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한 일본 연구진이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토양에서도 건강한 식물을 키울 수 ... ...
사우디아라비아 수출하는 원자로 ‘스마트’
2015.03.04
원전처럼 분리형 원전의 경우 기기를 연결하는 배관이 조금이라도 깨지면 고온고압의
방사능
오염물질이 새어나올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스마트처럼 일체형 원전은 모든 장비가 압력용기 안에 들어 있어 지진 등으로 사고가 나더라도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이 적다. 또 지진해일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