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놈
남성
수코양이
뉴스
"
수컷
"(으)로 총 645건 검색되었습니다.
20년 전 오늘, 복제 양 ‘돌리’ 탄생
2016.07.04
향한 희망을 안겨 줬다. ●식용 가축 대량 생산 위해 복제 연구 시작 돌리는 암컷과
수컷
의 교배 없이 암컷의 세포 하나로 태어났다. 핵을 제거한 난자와 암컷의 젖샘에서 얻은 체세포를 융합한 ‘핵 치환’ 기술로 수정란을 만든 것이다. 자연적으로 태어난 양은 암컷과 숫컷의 유전자를 반반씩 ... ...
아기새 언어 교육, 언제부터 시작될까? ① 알 ② 눈뜨기 전 ③ 눈 뜬 직후 ④ 깃털나기 시작할 때
2016.07.02
밝혔습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요정굴뚝새의 배아학습에 대해 알게 된 것이지요.
수컷
붉은등 요정굴뚝새 - gailhampshire(W) 제공 그 후, 연구진은 붉은등 요정굴뚝새에게로 연구를 확장해 퀸즐랜드에서 네 번의 번식기를 거치며 67개의 둥지에서 그들의 노래 소리를 녹음했습니다. 또한 붉은등 ... ...
엄마 곰이 사람 사는 곳까지 내려온 슬픈 이유
2016.06.28
사람 발자국만 봐도 피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발정 나 앞뒤 분간 못하는
수컷
을 피하는 방법은 ‘결국 그 사람을 이용(?)하는 것’이더라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그들은 지난 2005년, 26마리의 어미 불곰에 GPS 위치 추적기를 부착하고, 2012년까지 7년 동안의 어미 불곰의 위치를 파악하며 ... ...
디즈니 악어‧고릴라 하람베 '사람 부주의에 왜 동물이 죽나' 논란
포커스뉴스
l
2016.06.17
신시내티 동물원에서도 고릴라 우리로 3세 남아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당시
수컷
고릴라 '하람베'가 아이를 끌고 다니자 동물원 측은 고릴라를 사살했다. 하람베는 국제멸종위기종 1급인 로랜드 고릴라였다. 이 사건은 동물원 측의 과잉 대응과 아이 관리를 소홀히 한 부모에 대해서도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인근 오염된 숲에 풀어줬다. 그 뒤 수은등과 유혹용 암컷 나방이 들어있는 포획망으로
수컷
나방을 ‘회수’해 그 비율을 조사했다. 만일 날개색으로 인한 선택압 이론이 맞다면 검은색 나방의 생존율, 즉 회수율이 더 높을 것이다. 실험 결과 밝은 색 나방은 18마리가 돌아와 13.1%의 회수율을 보인 ... ...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16.06.03
6보다 더 많은 수를 굳이 셀 필요가 없는 것이다. 호주에 사는 턱수염도마뱀.
수컷
들은 아래턱의 비늘이 검고 거칠어서 마치 성인 남자의 턱수염을 연상시킨다. 호기심이 많고 사람과 금방 친해질 수 있어서 반려동물로 인기가 많다. 다리가 짧지만 위협을 느끼면 짧은 뒷다리로 서서 두 다리로 ... ...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30
울지요. 왜 그럴까요?” 정답은 수원청개구리와 청개구리의 경쟁 때문이에요. 개구리는
수컷
만 우는데, 이는 암컷을 유혹해 짝짓기를 하기 위해서예요. 그런데 서식지가 줄어들며 두 개구리가 같은 논에 살게 되자 목소리가 큰 청개구리의 울음소리만 잘 들리게 된 거죠. 수원청개구리는 자신의 ... ...
연구자와 시민이 함께 멸종위기종 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26
볼체 연구원은 “보통 양서류 복원은 10~30% 살아남으면 성공했다고 본다”며 "개구리는
수컷
만 울기 때문에 암컷까지 치면 11마리보다 많이 살아남았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지난 해 방사한 어린 수원청개구리들이 무사히 첫 겨울을 보내고 살아남아 기쁘지만 확실한 복원 성공 ... ...
방울뱀 허물로 스스로를 보호하는 다람쥐
2016.05.18
뱀이 벗어놓은 허물을 집어 들고 입으로 씹거나 몸에 문지르는 것을 관찰했는데요.
수컷
보다 암컷이나 어린 개체에서 특히 그런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뱀의 공격에 더 취약하기 때문이겠지요. 그렇게 묻혀진 뱀의 냄새로 다람쥐 고유의 냄새를 숨길 수 있으니 (특히 굴에서 자고 ... ...
‘내 발을 바라봐’ 발로 구애하는 개구리
2016.05.10
팔다리 움직임을 조절하는 근육에 영향을 미쳐서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는 것인지
수컷
보르네오 바위개구리의 호르몬 변화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바위개구리의 다리 근육은 발 깃발을 만들지 않는 다른 개구리의 다리 근육보다 테스토스테론에 약 10배 더 민감하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결국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