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뉴스
"
액체
"(으)로 총 1,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물과 농장 쓰레기가 항공업계 탄소감축 근심 해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7.04
음식물 쓰레기에서는 고약한 냄새가 많이 난다.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한 노란
액체
인 ‘휘발성 지방산(VFA)’이 원인이다. 연구팀은 최근 이 VFA를 활용해 등유(케로신)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케로신은 항공기나 우주발사체 제트 엔진에 쓰이는데 지난달 21일 발사에 성공한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
과학동아
l
2022.06.22
않고 재연소해 엔진 효율을 7% 이상 높일 수 있다. 추력을 10%가량 조절할 수 있는 기존
액체
엔진에 다단연소 사이클을 적용하면 40%까지 조절을 할 수 있고, 재점화도 가능하다. 추력제어와 재점화는 추후에 재사용로켓을 개발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이다. 현재 10t급 엔진으로 개발해 40회가량 시험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수질 오염과 물고기 집단 폐사
2022.06.22
정화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수질 관리에는 적지 않은 비용과 노력을 투입해야만 한다.
액체
상태의 물에는 매우 다양한 화학물질이 녹아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 화학에서 알려져 있는 1억 4천만 종에 이르는 모든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을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는 '이들' 꿈도 함께 싣고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부문 개발에 함께 했다. 누리호 27만 개 부품 총조립을 맡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75t급
액체
엔진 개발을 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대표적이다. 이창한 KAI 우주사업팀장은 “연구소가 지금까지 요소기술을 축적하는 역할을 했다면 이를 안보나 경제 분야에서 상업성을 갖추도록 확장하는 DNA는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누리호 제원과 개발 과정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연소불안정은 해결 방법이 명확치 않아 중대형
액체
엔진 개발자들에게는 가장 큰 기술적 난제로 꼽힌다. 개발진은 설계를 12번 바꾼 끝에 10개월 만에 연소 불안정을 극복했다. 2018년 11월 28일에는 75t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누리호의 2단부까지만 만든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 인공위성을 독자적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시대는 무엇을 의미하나...발사 성공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발사 성공으로 1t급 이상의 실용 위성을 태양동기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75t급의 중대형
액체
엔진을 자력으로 개발한 국가로는 7번째다. 특히 우주개발 분야에서 위성 등 다른 분야와는 달리 발사체 기술은 국가간 기술이전이 엄격히 금지돼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으로 발사한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첫 위성 발사 30년만 쾌거...과학위성·과학로켓으로 이어진 우주개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개념설계를 시작하며 성공까지 12년 3개월을 달려왔다. 2014년 10월 누리호의 심장 격인 75t
액체
엔진을 처음 시험하던 중 발생한 연소불안정 현상은 개발진을 가장 괴롭혔던 순간으로 꼽힌다. 원인을 알기 어렵고 해결 방법도 마땅치 않아 엔진 설계를 12번이나 바꾼 끝에 16개월 만에 연소 불안정을 ... ...
[영상+]누리호가 찍은 지구…우주까지 가는 전 과정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덮개(페어링)를 분리했다. 발사 269초 뒤 고도 237km. 이번엔 누리호의 마지막 단인 3단
액체
엔진에 불꽃이 켜졌다. 누리호의 3단에는 위성 궤도투입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성능검증위성과 위성모형이 실려있었다. 521초간 안정적으로 연소를 해야 이들 위성을 목표 고도인 700km 궤도에 위성을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이스라엘·이란·북한보다 늦었지만…7번째로 1t급 실용위성 발사 능력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듯 자력발사 능력은 앞서 10개국이 갖췄지만 1t 이상의 실용급 위성 발사가 가능한 중대형
액체
로켓엔진 개발해 보유한 나라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러시아, 유럽연합, 중국, 일본, 인도 등 7개국에 머문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앞서 발사한 이스라엘과 이란, 북한 등 3개국은 300kg 이하 위성의 ... ...
한국 독자 우주발사체 능력 확보했다...누리호 두번째 시도끝에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21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1t급 이상의 실용 위성을 태양동기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중대형
액체
엔진 개발로는 7번째 국가로 올라섰다. 특히 우주개발 분야에서 위성 등 다른 분야와는 달리 발사체 기술은 국가간 기술이전이 엄격히 금지돼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으로 발사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