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8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2024.10.12
심리학자 빅토르 프랑클도 비슷한 이야기를 한 바 있다. 그는 절대적인 절망 속에서도
인간
은 삶의 의미를 찾아 자신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다고 보았다. 자신은 수용소 안에서도 이따금씩 하늘을 바라보며 아름다움을 음미할 수 있었고 따라서 살아남았다고 이야기했다. 반면 무엇보다 마음이 텅 ... ...
[표지로 읽는 과학] 영구동토층 녹으면, 강둑 침식률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2
있는 마을의 약 43%가 강 옆에 위치한다”며 “기후 변화로 인한 영구동토층 해빙은
인간
의 생활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영구동토층에는 대량의 메탄이 갇혀 있기 때문에 기후 변화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 메탄 방출로 기후 변화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 ...
노벨상도 받았는데…AI 활용 신약 개발 험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0.11
인류의 이해가 더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올해 노벨 화학상은
인간
에게 유용한 단백질 구조를 설계하고 인공지능(AI)으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데 기여한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이들의 기술은 신약 개발의 판도를 뒤흔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번 노벨상 수상으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①생리의학상…유전자발현 정밀 조절자 miRNA
2024.10.10
이 놀라운 발견 후로 분석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현재까지 1000개가 넘는 마이크로RNA가
인간
에게서 발견되었고 4만개가 넘는 마이크로RNA 유전자가 271개의 생물체에서 발견되었다. ● 대한민국 노벨 과학상에 대한 시사점 지난 수십 년 동안 매년 10월 초가 되면 대한민국의 많은 국민들이 노벨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파급력이 굉장하기 때문에 노벨상을 충분히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단백질을
인간
이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인식을 깨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한범 연구원은 또 "베이커 교수는 변함 없이 연구실 한명 한명의 연구 방향을 정확하게 다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없다. 그래서 다양한 생물에 널리 분포한 단백질의 구조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반면
인간
이나 포유류 등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단백질의 구조는 상대적으로 예측 정확도가 떨어졌다. 알파폴드3은 새롭게 적용된 디퓨전 모델을 이용해 기존 알파폴드의 한계를 극복한다. 디퓨전 모델은 원자와 ... ...
전기 내뿜는 실로 상처 꿰매니 회복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세균의 수가 낮게 유지돼 수술 후 감염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어 "
인간
에게 적용하려면 임상 테스트가 필요하다"며 "기존 봉합사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doi.org/10.1038/s41467-024-52354 ... ...
매운 음식에도 플라시보 효과…맵지 않을까 걱정하면 더 고통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지난달 우충완 기초과학연구원(IBS) 뇌과학이미징연구단 부단장이 이끈 연구팀은
인간
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가 자극의 세기뿐 아니라 자극이 얼마나 아플 것인가에 대한 기대감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연구팀은 기대가 쾌락적 경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한 ... ...
[노벨상 2024] 자신이 토대 닦은 AI 위험성 경고한 '딥러닝 대부' 힌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무기 시스템이 실용화되면 전쟁을 제어할 수 없게 될 것이란 경고도 내놨다. 또 AI가
인간
의 일자리를 빼앗으면서 빈부격차가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벨상 발표 이후 공개된 전화 인터뷰에서 힌튼 교수는 "AI는 우리 사회에 산업 혁명처럼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보다 ... ...
[노벨상 2024] 챗GPT 낳은 인공신경망 토대 구축 존 홉필드·제프리 힌턴 물리학상 영예(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기존에 가장 정교한 계산 처리 능력을 가진
인간
의 뇌 원형에 주목할 수밖에 없었다.
인간
의 뇌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신경세포(뉴런)는 인공신경망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진 노드(연결점)가 된다. 각 노드의 연결은 신경세포 간 연결인 시냅스에 비유된다. 이러한 연결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면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