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혈압 원인 '소금 과다섭취' 조절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결핍 상태가 소금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 소금에 대한 미각 센서가
작동
하지 않는 'Ir76b' 돌연변이 초파리도 나트륨 결핍 상태일 땐 소금을 선호했다. 나트륨 섭취에 대한 욕구는 짠맛 때문만이 아니라 나트륨 결핍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스크리닝을 ... ...
"한국서 외면받는 진료과, 캐나다에선 인기...의사 투명성·자정작용
작동
"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김태경 토론토대 영상의학과 교수(위 왼쪽)가 30일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린 ‘대한민국 의료가 나아가야 할 길 긴급 심포지엄’에서 Q&A 질문을 받고 있다. 한국과 캐나다 의료시스템을 모두 경험해본 캐나다인 교수가 한국 의료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의사가 사랑받고 신 ... ...
사람 음성 받아적는 AI도 '환각' 보여…"없는 말 지어내"
동아사이언스
l
2024.04.28
학습하고 앞으로 나올 단어를 예측해 출력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작동
한다.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AI도 언어 모델을 음성 패턴을 학습한 모델과 결합한 시스템이다. 연구팀은 지난해 4월과 5월에 챗GPT 개발사인 미국 오픈AI(OpenAI)의 고성능 음성-텍스트 변환 AI인 '위스퍼(Whiper) ... ...
액체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가능하다. 박 교수는 " 유체 기반의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은 뇌 신경세포의 환경 및
작동
원리를 가장 가깝게 모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라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및 생체 삽입형 바이오 센서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 ...
줄기세포로 뇌 신경세포도 재생...돌이킬 수 없는 뇌손상 고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유전자가 전뇌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전자의 기능을
작동
하지 않게 하자 전뇌가 없는 쥐들을 안정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었다. 우 교수팀은 쥐 줄기세포를 이용해 조직을 복원하는 방법으로 전뇌를 형성할 수 있는지 실험했다. 헥스1 유전자를 제거한 초기배아 상태인 ... ...
로봇은 왜 동물보다 빨리 달리지 못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달리기에 필요한 능력치를 민첩성,
작동
범위, 견고성으로 정의했다. 각 능력치에 연관된 하위 시스템을 동력원, 재료, 구동 장치, 감지, 제어로 나누어 동물과 로봇을 비교했다. 로봇의 다리를 움직이는 모든 하위 시스템은 최신 로봇공학 ... ...
"배터리, 더이상 일회용품 아냐…소듐·전고체·리튬황 배터리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입증했다"며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은 리튬황배터리로
작동
하는 드론을 운영하는 등 이미 시장 진출 가능성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멍 교수는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성을 확보한 차세대 배터리가 우리 삶에 자리잡기 위해선 전세계 학자들의 협업이 필수적이라고 ... ...
초소형 군집위성1호 상태 '양호'…쌍방 교신 여부는 미언급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지상국과의 교신을 통해 위성 송수신 상태를 확인하고 초소형군집위성 1호의 정상
작동
여부를 추가 확인할 계획이다. 다만 오후 1시 50분경 배포된 과기정통부 발표자료에는 위성의 성공적인 궤도 투입을 의미하는 양방향 교신 성공 여부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 ...
격리 환자에게 생필품 비대면으로 배송하는 로봇 실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로봇이다. 최대 12kg이 나가는 물건 3개를 적재할 수 있으며 3시간 충전으로 약 8시간 동안
작동
할 수 있다. 병원시설은 물론 공동주택 등에서의 활용도 기대되는 로봇이다. 딜리버디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격리된 환자들에게 음식과 생활용품을 전달할 ... ...
한번 삽입으로 1년 이상
작동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KAIST와 한양대 공동 연구팀이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뇌 관련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 ... 머터리얼스’에 지난달 29일 게재됐다. 장기간 사용 가능한 섬유형 신경 인터페이스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 KAIST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