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장
글월
작문
문자
글짓기
글씨
원고
스페셜
"
글
"(으)로 총 607건 검색되었습니다.
단식의 과학
2014.06.16
실천하기 쉽지 않은 격일제 단식과 8시간 다이어트(생각해보니 지난 2012년 한
글
판이 출간돼 큰 반향을 부른 나구모 요시노리 박사의 ‘1일1식’은 칼로리제한이 아니라 간헐적 단식으로 봐야 할 것 같다) 보다는 저자들이 직접 해보고 꾸준히 실천할 수 있다고 확신한 5:2 다이어트를 소개하고 있다. ... ...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IBS
l
2014.06.13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가를 알 수 있다"고 설명한다. 거기다 대부분의 결과물 표현이
글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문 사회적인 바탕이 조금 더 유리하다고 말한다. "IBS는 스케일이 큰 만큼 미션도 큽니다. 그런 부분이 더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장점이기도 하죠. 물론 공부해야 하는 부분이 수도 ... ...
[MATH] 천재일우(千載一遇)와 확률
KISTI
l
2014.06.05
배척당한 강직한 인물이었고, 백락은 주나라 사람으로 명마를 잘 식별하는 사람이다. 이
글
에서 원굉은 백락을 뛰어난 인물을 알아보는 눈을 가진 임금으로 비유하였고, 천리마는 탁월한 능력을 갖춘 명신으로 비유하였다. 이러한 임금과 신하의 만남은 ‘천 년 만에 오는 기회’라는 것이다. 우선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발표했지만 다른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에 아직은 때 이른 감이 있다. 필자들은
글
후반부에서 암흑물질의 후보를 좀 더 확대해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즉 차가운 암흑물질뿐 아니라 좀 더 ‘따뜻한(warm)’, 즉 입자의 속도가 다소 빠른 암흑물질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여기에는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습관은 제2의 천성으로 제1의 천성을 파괴한다. - 블레즈 파스칼 단어 가운데는 본래 가치중립적이지만 쓰임새는 한 쪽에 치우친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냄 ... 버려야 하겠지만 어쩌겠는가. 바로 좀 전에도 점심을 먹고 바둑 한 판을 둔 뒤(졌다!) 지금
글
을 마무리하고 있는 것을.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소개
글
의 제목 ‘여전히 끝나지 않은 경주(A Race Still Unfinished)’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글
들을 읽어보면 유방암이 만만치 않은 적수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특집의 계기가 된 유방암 유전자인 브라카1과 이듬해 발견된 또 다른 유방암 유전자인 브라카2를 합쳐도 두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경우 합당한 사유가 있나 등이다. 독일 베를린자선의대 뇌졸중연구소 울리히 디르나
글
소장의 경우 실험동물의 꼬리에 번호표를 붙인 뒤 난수 발생기로 실험할 동물을 정한다고. ●1993년 임상 사고 막을 수 있었다? 하지만 동물실험 과정을 아무리 완벽하게 설계하더라도 동물실험에는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우드는 2012년 호모 루돌펜시스 화석 추가 발견 보고 논문에 대한 해설을 아래와 같은
글
로 마무리했다. “예측컨대, 리키와 동료들이 호모 하빌리스를 기술한지 100년이 되는 2064년 무렵의 미래 연구자들은 인류 진화에 대한 오늘날의 가설들이 무척 단순화된 것이었다고 평가할 것이다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일 일요일에는 특별한 사건은 없었지만 그날 역시 기억할 수 있다. 어머니와 함께 엔치노
글
렌 카페에서 아침을 먹었다. 나는 스크램블 에그를 시켰고 두통 때문에 머리가 좀 아팠다.” (‘모든 것을 기억하는 여자’ 57쪽) ●망각의 단백질 찾아 이런 비범한 기억력이 삶을 살아가는데 오히려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결정적인 증명을 하지는 못했다. 해면 공생 박테리아는 배양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글
앞에 인용한 대학교재 ‘생명과학’은 2008년판임에도 여전히 해면을 생산자로 기술돼 있다. 이는 저자들이 최신 연구결과를 몰라서가 아니라 해면동물에 불과 2쪽을 할애한 상태에서 심증만 있는 복잡한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