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스페셜
"
발
"(으)로 총 632건 검색되었습니다.
75t급 액체엔진 시험
발
사체
발
사 순간 동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한국형
발
사체(KSLV-Ⅱ) ‘누리호’의 주 엔진인 75t급 액체엔진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
발
사체가 28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
사대에서 성공적으로
발
사됐다. ... 주 엔진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
발
사체가 28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
사대에서 성공적으로
발
사됐다. - ... ...
우주
발
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모습을 선보였다. 이온이나 원자를 고속으로 가속해 추력을 얻는 새로운 로켓도 개
발
되고 있다. 지난 9월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첨단 전기추진 체계’로 알려진 이온 로켓 엔진 시스템이 초기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절반에서 3분의 2 수준이다. 콜린 결핍은 DNA 손상과 후성유전학적 변이를 일으키고 뇌
발
달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가 익숙한 타우린(taurine) 역시 인체에서 만들기는 하지만 양이 적어 음식으로 보충해줘야 한다. 타우린 부족은 다양한 질환에 걸린 위험성을 높이는데 특히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제비 몰러 나간다~!” TV 광고에 나오며 너무나 유명해진 판소리 ‘흥보가’의 한 대목을 기억하는가? 심술궂은 놀부가 제비를 잡으러 나서는 내용을 ... 젊은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소개합니다. *출처 : 어린이과학동아 16호(8월 15일
발
행) *이미지 : 현진 작가 (AZA 스튜디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네
발
포유류일 것이다. 한편 나무 위 생활을 선택한 영장류는 시각과 청각을 고도로
발
달시킨 대신 후각을 상당 부분 희생시켜 오늘에 이른 것이다. 그럼에도 보다 원초적인, 즉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후각수용체는 여전히 보존하고 있다는 말이다. 아직까지 후각수용체 400개 가운데 인식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
발
했다!
2018.06.26
플라스틱으로 만든 ‘막대기’ 수준이었다. 그러나 신경과학과 전자공학이 눈부시게
발
전하면서 최근엔 다양한 손동작을 할 수 있는 의수까지 나오고 있다. 여기에 인공피부를 통한 감각 피드백까지 더해진 의수가 나온다면 이 글 앞에 인용한 실험참가자의 말처럼 사용자들이 진짜 손으로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7년 6월 18일 영구정지됐다. 해체를 위해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 기술을 2024년을 목표로 개
발
중이다.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출처: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
2018.05.26
남자는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는 류의 편견 역시 남성으로 하여금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발
달시키지 못하게 하고 공감 능력을 잘 사용하지 않게 만든다는 지적도 있었다.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편협한 정의들을 점검하고, 모두가 동등한 인간이라는 시각을 기를 때다. [1] Polaschek, D. L., & Gannon, T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03
것으로 추정됐다. 뤽 도용 프랑스 보르도대 연구원팀은 학술지 미국공공도서관회보에
발
표한 논문에서 “수십만 년 전 동아시아에 인류가 살았으며, 이들에게도 (그 동안 다른 지역의 전유물로 여겨진) 정교한 도구 제작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13만~11만 년 전 중국 내륙에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마그마방의 거동을 살피고 있다. 남한은 ‘폐쇄적 상황’을 이유로 백두산 연구에 한
발
물러서 있는 상황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과학기지’를 세우고, 천지 일대를 자유과학지대로 설정해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장비를 공유하고, 지식을 교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며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