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스페셜
"
이상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 오태광 단장의 ‘이것만은 꼭!’ ○ 대학원 과정에서 기술사업화 과정을 1~2학기
이상
꼭 교육해야 ○ IT-BT 등 전혀 생소한 학문보다는 유전자-미생물 등 유사학문의 연계부터 시도해야 -------------------------------------------------------------------------------- 오태광 단장은 1982~1986년 KAIST 생물공학부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
2010.04.13
Gilead Sciences)사가 모범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벤처기업으로 시작해 지금은 연평균 40%
이상
성장을 하면서 실력 있는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인플루엔자A의 치료제인 타미플루 개발사로 유명한 길리아드 같이 틈새 분야를 개척하면서 아예 새로운 영역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 ...
국가 신약개발 진두지휘할 협의회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3.16
교과부, 복지부, 지경부 의 순서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문제는 신약 개발이 10년
이상
의 세월과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보니, 각 부처별로 무수히 많은 사업 중 하나를 골라 협력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최종 단계는 제약회사다. 기업의 참여도 필요하다는 뜻이다. 식약청도 연계에 참여해야 한다.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발전에 반드시 수반되는 ‘전파’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서라도 중요합니다. 10세대
이상
의 육종을 통해 축적된 방대한 기술을 국가가 담당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 민간의 육종업자를 키워야 합니다. 즉 올바른 생각을 가진 ‘두뇌어민’을 키우는 것도 육종센터의 역할입니다. 단순히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나선 결과다. 이런 성과로 바이오나노연구센터에 근무하는 박사급 과학자 8명 중 절반
이상
은 억대 연봉자로 분류된다. 정 박사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정 센터장이 국내 생명공학의 발전방향에 대해 던진 의견은 뭘까. 그는 생명과학계를 위해 조언을 달라는 주문을 받자 대뜸 “기술사업화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4마리를 일본에서 들여왔어요. 이들이 서로 교배해 새끼를 낳아 개체 수가 수십 마리
이상
이 되면 안정적으로 번식하는 사이클이 만들어지죠. 그때부터는 미니돼지도 연구에 사용할 수 있어요.” 성장한 미니돼지는 무게가 사람과 비슷하기 때문에 신약의 성능을 시험하기 적합하다. 예전에는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얻을 수 있다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연구참여를 강화해야 합니다. 그리고 대학원생
이상
의 전문인력은 해외로 무조건 빠져나가지 않도록 국내에서도 좋은 육성시스템을 갖춰야 하지요. 좋은 정책이 우수한 인력을 만든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정종경 교수가 연구실 학생들과 토론하고 있다. ... ...
0원하던 기술이전료 100억 만든 사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09.07.28
6월 발표한 기관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올해 기술료 예상액은 120억원. 5년 안에 400억원
이상
의 기술료 수익을 낼 계획이다. 100억원의 사나이 된 비결은?… ‘기술이전 전문조직’ 출범 생명연 내부에 어떤 변화가 있었기에 이런 혁신이 가능했을까? 비결은 연구지원 전문조직 출범에 있었다. 2003년 ... ...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신약개발과 관련한 한국 R&D 인력이 2만명
이상
부족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 역시 정책적으로 개선해야 됩니다. 우수 인력을 발굴하고 키우려는 구체적인 방안을 정부 차원에서 진지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피터야거 사장의 ‘이것만은 꼭!’ ○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한다는 주장이다. 흔히 신약 하나를 개발하려면 10~15년의 시간이 걸린다. 자본도 1조원
이상
투자해야 한다. 이렇게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해도 성공할지, 안할지를 모른다. 신약산업을 ‘고위험 고수익’ 산업으로 부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신 박사는 한국이 신약사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조건으로 ... ...
이전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