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X는 안 하는 공중 발사, 버진 오빗은 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0만 달러(약 550억 원) 수준이다. 박 책임연구원은 “공중 발사는 항공기
크기
에 따라 로켓
크기
가 결정된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어 소형발사체에 특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2014년 해상 발사 서비스 기업인 시론치가 해상 발사 플랫폼에서 로켓을 쏘아 올리고 있다. 시론치 제공 ●中, 신형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살균제, ‘살인적 사용법’이 문제였다
2021.01.20
흡입에 의한 독성을 간과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살균 물질의 인체 흡입 독성은 분자의
크기
만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상식은 철저하게 외면당했다. 동물실험의 인체 적용이 간단하지 않다는 사실을 당당하게 밝힌 전문가도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화학혐오증을 자극해서 동물실험을 ... ...
[코로나 1년] 코로나와 맞는 또다른 1년...전문가들 "올해도 유사, 백신 과의존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잘 쓰면 감염을 막을 수 있다는 교훈을 얻었기에 올해에는 감염 양상이 비슷하지만 확산
크기
자체는 작을 수 있다”면서도 “다만 사람들이 방역정책에 협조하지 않는다면 언제든 확산이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스크를 끼고 체온을 측정하는 등 일상생활에서의 제약이나 불편감도 올해동안 ... ...
코로나 변이바이러스로 재감염 우려 커져...백신 업데이트 필요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오래 지속되지 못해 재감염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거나 변이바이러스가 전파력이 더
크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의 분자생물학자인 에스터 사비노 교수는 마나우스 지역에서 재감염 사례를 수집하고 바이러스 샘플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변이바이러스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전까지 단일 망원경 중에는 전 세계에서
크기
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포착하는 연구에 활용됐다. 또 1974년에는 직접 외계인을 찾기 위해 마이크로파 형태의 ‘아레시보 메시지’를 허큘리스 대성단을 향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 에너지 증폭시키는 마법의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1.01.16
나노입자로 레이저 포인터 수준의 약한 빛을 쬐어 매우 작은 25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
의 물질을 높은 해상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약한 빛을 쪼여도 강한 빛이 나오므로 해상도가 높아진 것이다. 강한 빛 때문에 시료가 손상될 걱정도 없다. 연구팀은 광사태 나노입자를 ... ...
꼬리 무는 월성원전 삼중수소 진실공방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있다. 이에 대해 김기환 원안위 원자력안전과장은 “원전 내부에서는 삼중수소 변동값이
크기
때문에 획일적인 관리 기준을 두는 게 큰 의미는 없는 상황”이라며 “이상 측정치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과거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한수원이 관련 연구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
코로나19 폐렴의 '진짜 위험', 느린 확산 뒤에 숨겨져 있다
연합뉴스
l
2021.01.15
반응을 분석하는 건 세계에서도 소수 연구 그룹만 하고 있다. 환자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폐 수액에서 분리한 면역세포의 RNA와 발현 단백질을 관찰해 어떻게 이들 면역세포가 염증을 일으키는지 알아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중증 코로나19 폐렴의 치료 표적으로 지목된 ... ...
[한 토막 과학상식]화학연 연구팀 세계 최초 발견한 '나노입자 광사태 현상'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1.15
말했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활용해 빛으로 보기 힘든 25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
의 물질을 높은 해상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빛을 이용해 관측할 때는 가시광선 파장대인 400~700nm보다 작은 물질을 보기 어렵다. 하지만 작은 빛을 쪼여줘도 강한 빛을 방출하도록 하면서 작은 물질을 보는 ... ...
[소재의 미래]⑼ 고압 송전선 감시, 소재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13
코일을 감아 자기장에서 전기를 만드는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한 센서도 개발됐지만
크기
가 탄산음료 캔 정도에 무게도 수 kg으로 무거워 전선에 활용하기는 어려웠다. 류 교수는 자왜소재와 압전소재를 결합해 자기장에서 에너지를 얻는 자기-전기 복합체(ME)를 여기에 활용하기로 했다.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