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콧물질질~ 고름찍찍~ 눈물의 일본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싸우는 바람에 시간은 자꾸만 흘렀다. 어느덧 썰렁홈즈의 콧물은 점점 불어나 바닥에
작은
웅덩이가 생길 지경에 이르렀다. 누가 먼저 왔는지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여러분들이 도와 주는 건 어떨까? 사람들의 말을 듣고 순서를 정해 보자. mission 3 썰렁홈즈의 X선 사진을 찾아라무사히 눈과 코를 ... ...
빨간 피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3호
노란색을 띤다. 혈장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백질이 약간 섞여 있다. 혈장은
작은
창자에서 흡수한 영양소를 운반하며 세포에서 생긴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운반한다.백혈구는 우리 몸을 보호한다. 세균이나 이물질이 몸 속 으로 침입하면 백혈구가 잡아먹는다.혈소판은 큰 세포에서 ... ...
별을 보며 꿈과 희망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지난 10월 28일과 29일 이틀 동안 열린 제주도 서귀포 행사를 마지막으로 올해 크고
작은
별 축제를 모두 마쳤습니다. 과학의 달인 지난 4월 국립중앙과학관, 엑스포과학공원, 꿈돌이랜드에서 열렸던 대한민국 별 축제에 7만 8000명의 인파가 몰리는 등 올해 열린 별 축제에 많은 어린이들이 모여 성황을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에티켓. 그런데 어떻게 휴대전화가 스스로 몸을 떨 수 있을까? 비밀은 안에 있는 4㎜보다
작은
진동 모터. 휴대전화에 전화가 오면 안에 있는 진동 모터에 전류가 흐른다. 모터가 작동하면 진동이 일어난다.디지털 신호는 부피를 줄여 줘!사람의 목소리는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다. 통화가 ... ...
다이어트, 운동이 최고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역도 선수들은
작은
키가 역도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지 근력 운동을 많이 해서 키가
작은
것은 아니에요.간혹 근력 운동이 성장판을 다치게 한다는 말도 있어요. 하지만 성장판이 다칠 정도라면 뼈가 부러질 만큼 강한 운동을 했을 때랍니다. 적당한 근력 운동은 꼭 필요합니다.근육이 많으면 키가 ... ...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돌기로 빼곡히 덮여 있다.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된 영양소는 융털에서 흡수된다.
작은
창자의 길이는 7미터나 되고 주름과 융털을 모두 펼치면 테니스장의 넓이와 맞먹는다. 대장소화가 마무리된 음식물은 이제 큰창자(대장)로 이동한다. 큰 창자는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든다. 큰창자에 이상이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고르지 않은 땅에서 시속 12㎞로 달릴 수 있어. 내눈은 밤에도 잘 볼 수 있고 내 귀는
작은
소리도 잘 듣는단다. 전쟁터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서 언제든지 사람을 구할 수 있지. 2004년 10월 나는 자이툰부대와 함께 이라크에 다녀왔어. 야간 정찰을 하고 폭발물을 찾아 내는 일이 내 임무였지. 라면 ... ...
습지에 한번 빠져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수 있는 곳이 둔촌습지랍니다. 이 곳은 산자락에서 솟아난 지하수가 땅에 고여 크고
작은
물웅덩이를 만들며 4200평이나 되는 습지를 이뤘어요. 땅에는 오리나무와 물박달나무가 있고 웅덩이에는 멸종위기종인 벌레잡이식물 통발과 애기부들, 마름, 물수세미 등이 자라고 있어요. 깃동잠자리 등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성분은 몸속에서 소화 와 발효를 거치며 생겨난다.보통 사람이 하루에 뀌는 방귀는
작은
생수 한 병 정도의 양(600㎖)이다. 원래 방귀는 냄새가 없지만단백질을 분해할 때 나오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이 지독한 냄새를 만들기도 한다.지독한 방귀 냄새하면 떠오르는 스컹크~! 그러나 스컹크가 내뿜는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기대된다. 세포, 뚫어지게 보자17세기에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세계로의 여행이 시작됐다. 현미경으로 코르크 조각을 관찰하며 세포의 존재를 알았고 혈액이나 근육, 정자 등을 확대해 보기도 했다. 그렇다면 생물의 몸을 이루는 세포는 어떻게 생겼을까?양파껍질을 ... ...
이전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