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전달 과정은 대체로 아세틸콜린의 과정과 같다. 다만 신호를 전달한 후의 제거과정에서
차이
를 보인다. 즉 다른 신경전달물질은 분해되는 것이 아니라 신경세포 말단을 통해 재흡수 됨으로써 접합부간격으로부터 제거된다.아세틸콜린이 뇌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hemispheric asymmetry)이란 양측대뇌반구가 해부학적이나 기능적으로 똑같지 않고 상대적으로
차이
가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즉 각 반구는 발달과정 중 자연적으로 분화해 각기 다른 특정기능을 상대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낸다. 뇌기능의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는 실어증(失語症)연구로부터 시작됐으며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등 두개의 아종(亞種)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분포의 한계가 명확치 않고 모양에도 별
차이
가 없어 일반적으로는 한 종류로 보는 경향이 있다.장끼라고도 불리는 수꿩의 전신을 살펴보면 머리와 목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가 붉은 빛깔을 띠고 있다. 보면 볼수록 털의 깃마다 아름답게 수를 놓은 듯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유행은 항원형의 변이가 심한 A형에 의해 주로 나타난다.전파경로는 감기와 별다른
차이
가 없다. 다시 말해 포말흡입감염이나 직접적인 접촉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가 코 입을 통해 감염되는 것이다. 주로 코 인두부에 감염이 생기는 감기와는 달리 독감은 기관지 폐까지도 침투, 더욱 심한 증상이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금치 못했다. 우리나라 새는 1천m 밖에서도 경계 태새에 들어간다는 것. 1천m와 10m의
차이
는 새를 보면 '돌부터 집는 문화'와 '먹이를 주는 문화'의
차이
."동물들은 필요한 만큼만 먹이를 먹지 사람들처럼 쌓아놓고 먹거나 남이 먹지 못하도록 하지는 않습니다. 동물의 세계는 사재기도 없으며 투기도 ... ...
화산재하면 돌가루만 연상했는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윤용웅 학교에 돌아가면 제주도의 용암동굴과 이나즈미석회동굴의 성안(成因)의
차이
도 탐사결과를 토대로 다시 조사해 보고 싶어요.강재보 사실 이나즈미 동굴은 인공을 가미했다는 것이 금세 드러나더라구요. 제 개인 생각으로는 자연 그대로 두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보이던 데요.정환기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사람의 방식과 상당히 다르다.두뇌와 컴퓨터, 이 두가지 사고 장치에는 뭔가 본질적인
차이
가 있다. 이들 두가지 사고장치를 살펴보고 양자의 장점을 융합한 새로운 사고장치를 만들 수는 없을까. 뇌와 컴퓨터의 비교를(표 1)에 요약해 본다. 계산방식이 뭔가 달라현재의 컴퓨터가 한계를 보임에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대뇌이다. 대뇌는 포유류의 진화 과정에서 가장 강조되는 뇌. 뇌 부피가 다른 종과
차이
가 나는 것은 대뇌 때문이다. 대뇌의 발달은 사람에게서 절정을 이루고, 특히 고등한 정신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전두엽은 사람에서 가장 발달돼 있다. 대뇌의 겉부분을 피질이라 하는데, 이것은 ... ...
PARTⅡ. 원리와 종류-루비레이저에서 자유전자 레이저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것을 자연방출(spontaneous emission)이라 부르며 에너지 보존법칙에 따라 두상태 사이의
차이
에 해당되는 △E=${E}_{2}$+${E}_{1}$=hv (h : 플랑크상수, v : 진동수)의 에너지를 갖는다. 물론 △E는 광자의 형태 뿐아니라 운동에너지나 매질의 내부에너지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E}_{1}$상태에 머물러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정도의 염분 저항을 보이는 식물은 종(種)마다 그 저항력의
차이
를 나타낸다. 염류에 상대적으로 못 견디는 변종은 잘 견디는 종보다 염류를 더 잘 배제한다. 이런 식물은 대개 염류를 거부하는 방법으로 염해(鹽害)를 피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복사도 식물에게는 ... ...
이전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