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13건 검색되었습니다.
[CES 2015]삼성전자, 최적화된 미래 가전 제시
동아닷컴
l
2015.01.06
있는 1테라바이트(TB) 대용량의 외장형 SSD ‘T1’을 처음 선보였다. 손 안에 쏙 들어오는
크기
의 이 제품은 보기와 달리 대용량은 물론 일반 외장형 HDD보다 4배나 빠른 성능을 자랑한다. 정진수 동아닷컴 기자 brjean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 ...
미래형 초정밀 반도체 개발위한 이론적 기틀 닦았다
2015.01.05
상황이었다. 류 연구원은 불순물인 인(Phosphorus) 원자의 분포 경향과 실리콘 나노선
크기
사이의 상관 관계를 슈퍼컴퓨터 4호기를 통해 이론적으로 규명해냈다. 류 연구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반도체 회로 속 실리콘 나노선에 고농도의 인을 섞은 경우에 대해 원자 수준에서 계산해 내고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없다. 그렇더라도 끈이론 학자들은 초대칭입자의 질량이 가속기의 충돌 에너지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하면 되므로 큰 문제는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리처드 다위드(Richard Dawid)는 한 발 더 나아가 끈이론처럼 아름다운 이론은 굳이 실험으로 증명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 ...
간 80% 넘게 손상돼야 이상신호 느껴져… 국소 방사선 요법으로 癌
크기
줄여 절제
동아일보
l
2015.01.05
성과를 냈다. 최 교수는 “국소적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을 시행하면 수술 후 잔존 간의
크기
가 커져 환자의 회복에도 큰 도움이 된다”며 “고도로 진행된 간암 환자도 계속 발전하고 있는 복합적 항암치료법에 따라 머지않은 미래에는 현재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과학기술위성 3호 우주파편과 1km 차이로 ‘세이프’
2015.01.04
2만 개가 넘는다. 대기가 없는 우주 공간에서 초속 7~11km의 속도로 날아다니는 파편들은
크기
가 10cm 정도로 작은 편이라도 위성 하나를 충분히 파괴할 수 있을 정도의 지니고 있다. 궤도를 바꾸기 위한 궤도조정용 추력기가 없는 과학기술위성 3호는 자세제어용 추력기를 이용해 충돌위험을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이룬다. 정상파는 특별한 값의 파장만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가장 작은 파장보다 작은
크기
로 줄어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국 전자가 원자핵에 들러붙지 않고 그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전자가 정상파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물리학자 드 브로이는 이 사실을 알아낸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3쪽자리 논문에서 시작된 100년의 혁명
2015.01.02
조금 느려지는 시간지연효과가 생기지만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른 시간가속효과가 더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GPS 위성에서는 시간이 빨리 흐른다”고 말했다. ... ...
스마트폰 6대만 있으면 고성능 홈시어터 안부러워
2014.12.30
스마트폰이 이동하더라도 이 변화값을 시스템에 반영했다. 그 결과 사운드 품질은 약 4㎡
크기
공간에서 시차가 1000분의 1초, 세기차이가 10데시벨(㏈)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대 성인 남녀 30여 명을 대상으로 강의실과 공원 등에서 이 시스템으로 영화를 감상한 결과 긍정적인 반응을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직접 자극함으로써 청력을 회복시키는데, 보통 음성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라디오
크기
만한 체외 음성처리창치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 또 이렇게 분석된 정보에 따라 전기 펄스를 생성하는 체내 임플란트 장치도 필요하다. 체내 장치는 무선통신을 이용해 체외기로부터 데이터와 전력을 전달 ... ...
로제타가 보내온 화석의 정체, ‘집적 장벽’ 딜레마 해결할까?
동아닷컴
l
2014.12.24
나아가지 못하고 알갱이들로 분해되고 마는 성질을 말한다. 우리 과학의 수준은 cm
크기
의 알갱이들이 어떻게해서 집적 장벽을 극복하고 서로 뭉쳐서 더 큰 물체로 나아가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혜성으로 구성되는지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다른 일부 과학자들은 ‘공룡 알 모양의 ... ...
이전
526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