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전자산업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새로운 기종이 나와야만 기존의 부품을 도입하는 식이다. 따라서 늘뒤처져가고 있는
셈
인데, 칼라TV나 전자레인지 등에 비해 오디오제품의 규모ㆍ가격이 대형이므로 따라잡기가 어렵다"고 털어놓기도 했다.오디오 역시 TV와 마찬가지로 디지탈 오디오시대를 맞고 있다. 최근들어 일명 '바늘없는 ... ...
PART1 DNA의 구조와 복제 생명을 지배하는 이중나선구조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는 거대하면서 복잡한 분자이며 제각기 독자적인 입체구조를 갖고 있는 단백질인
셈
이다. 어떤 건축재료도 기초소재로 되어 있으며, 그 기초소재를 어떤 식으로 조합시키느냐에 따라 그 건축재료의 모양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생물체의 모습을 형성하는 단백질의 구조를 결정짓는 기초소재인 ... ...
PART 3 세계의 거대 댐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금강산댐의 2백억t과 소양강댐(29억t) 충주댐(27억t)은 역시 세계적인 거대댐은 못되는
셈
이다.댐자체의 체적만을 논하는 것은 댐의 높이나 저수량보다는 상대적으로 의미가 줄어든다고볼 수 있다. 시멘트를 주로 이용해서 댐을 쌓는 경우와 흙을 산처럼 쌓는 경우 커다란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 ...
디지탈 신호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전송되기 때문에 재생기를 거칠 때마다 잡음은 없어지고 새로운 펄수가 만들어지는
셈
이다. 따라서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와 동일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다. 디지탈 전송의 단점은 넓은 대역폭을 사용한다는 점과 또한 재생기를 짧은 구간에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단점은 치밀한 ... ...
TDX사업단장 서정욱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있는데 선진국을 보통 이 지수가 50정도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제 20을 갓 넘어선
셈
이지요."―교환기기술이 첨단기술의 결정체라고 하셨는데 그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지요."컴퓨터가 첨단과학이라면 누구라도 고개를 끄덕이는데 전화교환기 기술이 뭐 그리 대단한 기술이냐는 질문을 자주 ... ...
첨단기술사회의 성격화 대응 정보를 처리하고 통제하는 능력 길러야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상황에 신축성 있게 적응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이러한 입장에서 볼 때 읽고 쓰고
셈
하는 일이 문화인이 지녀야 할 기초소양으로 인식되어 있듯이, 새로운 정보와 사회에서는 과학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폭넓은 적응력을 지니고 있지 않으면 문화인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다가오고 있는 정보화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는 고대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꿈꾸어 왔던 연금술이 실현된
셈
이었다.‘라더포드’는 1928년 학술회의에서 α입자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입자의 필요성을 역설하였고 이에 따라 30년에는 ‘콕크로프트월튼’이 전하입자를 가속할 수 있는 직류고전압장치를 발명하였다. 이 ... ...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1년부터 한양대에 재직하고 있다. 30여년간을 연구소와 대학에서 고분자 연구에 매진해온
셈
이라 연구풍토에 대해서도 느낀 점이 많을 것이다.“대학교로 옮겼던 이유도 되겠읍니다만 20년간의 연구소 생활에서 문제라고 느낀 것은 특허가 몇건인가 하는식의 실적주의와 조급증 입니다. 미국의 ... ...
PART1 내일의 TV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각종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능이 더욱 돋보인다. 말하자면 정보화사회의 첨병인
셈
이다.물론 눈부시게 발전하는 전자산업의 추세로 미루어 어떤 획기적인 TV가 나올지 예측하기 힘들다.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는 TV는 과연 어떤 원리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을까.정보화시대의 ... ...
한국과학기술원 이재영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나라 치고는 이 분야의 개발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너무 얕아 활력있게 추진되지 못한
셈
입니다. 다른곳에서는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았으니까요. 최근에 와서 몇개 대학과 연구실에서 기초적인 연구를 시작 했읍니다. 그동안 연구한 결과는 합금의 열역학 및 속도론적 연구를 완성했고 최근에는 ... ...
이전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