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으로 화산 진단한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좀 더 정확한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 결과는 영국 ‘왕립학회 철학회보 a’ 1월 7일자에 발표됐습니다. 또 스테판 콜젠버그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학교 연구원은 마그마의 거품 발생과 고체화 과정의 경쟁을 화산 표면에서 드러나는 지질학적 신호와 연결 지어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 ...
- [수학뉴스] 머신러닝에도 괴델의 정리가?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931년 오스트리아 수학자인 쿠르트 괴델은 연속체 가설이 수학적으로 참 또는 거짓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을 밝힌 ‘불완전성 정리’를 발표합니다. 연 ... 연속체 가설이 참이 아니라면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1월 7일자 ‘네이처 인공지능’에 실렸습니다 ... ...
- [수학뉴스] 2월의 수학자 - 로그를 발명한 존 네이피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550년 2월 1일은 영국 스코틀랜드 출신 수학자 존 네이피어가 탄생한 날입니다. 네이피어는 계산기가 없던 시절 ‘로그’를 발명해 17세기 천문학자들의 계산량을 대폭 줄인 ‘은혜로운’ 수학자입니다.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귀족 지주 집안에서 태어난 네이피어는 곱셈을 쉽게 하는 방법을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마이클 아티야 별세수학동아 l2019년 02호
- 0세기를 대표하는 수학자 중 한 명인 마이클 아티야가 2019년 1월 11일, 9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2018년 9월, 세계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고 주장한 지 4개월 만입니다. 기하학과 수리물리학에 많은 업적을 남긴 아티야는 공간의 특성을 표현하는 ‘K ...
- Part 1. 수포자 문제, 어떻게 하면 좋을까?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수학을 포기한 사람이라는 뜻의 ‘수포자’는 이미 우리사회에서 익숙한 단어가 됐습니다. 수포자의 비율이 고등학생 60%, 중학생 46%, 초등학생 37%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는데요. 정말로 학급에 수포자가 많은지, 수포자들은 왜 수학을 싫어하는지,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반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소파 옮기기 문제 자, 그럼 이번에는 좀 더 복잡한 물건을 옮겨 볼까요? 이제 90°로 꺾인 1m 폭의 복도에서 소파를 옮길 거예요. 평면에서 옮길 수 있는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소파의 모양은 무엇일까요? 이 문제는 아직까지 정답이 증명되지 않은 ‘소파 옮기기 문제’입니다. 1966년 캐나다의 ... ...
- [QUIZ KING & POSTECH] 신입 회원 모집 대작전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학기 시작이라고 하면 3월인데 왜 포스텍은 2월에 개강이냐고요? 보통 다른 대학교의 1학기 개강은 삼일절 이후 첫 월요일이지만 포스텍은 그보다 2주 빨리 학기를 시작해요. 여름에 인턴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여름방학을 3개월로 늘리고 겨울방학을 2주가량 줄였기 때문이죠. 개강 시기가 다른 ... ...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을 구해야 해요. 어떤 수보다 작거나 같은 수를 모두 곱하는 거에요. 예를 들어 3!은 3×2×1을 뜻합니다. 이때 효율적으로 계산하려면 ‘같은 계산 다시 하지 않기’를 기억하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 5!을 계산할 때 이전에 계산한 4!의 결과 값을 기억하고 있다가 재활용하는 거지요. 이렇게 하면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을 30여 년간 이끌었다. 가트맨 박사도 독자들이 자신을 의심할 것을 예상했는지, 책 제1장 제목을 ‘사랑의 과학이라고? 정말?’로 지었다. 여기에 러브 랩이 어떤 곳인지 간략히 설명이 있다. 우선 신혼부부 130쌍을 차례로 불러 15분 동안 부부가 대화하게 했다. 그동안 가트맨 박사는 부부의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담을 콘텐츠의 혁신적 변화와 디자인의 개선을 의미한다. 과학동아는 창간 33주년을 맞아 1월호부터 판형을 210×275mm로 기존보다 약 18% 키웠다. 독자들에게 ‘읽는 과학’이 아니라 ‘보는 과학’의 경험을 안겨드리겠다는 게 목표다. 기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사진과 정제된 정보를 담은 ... ...
이전5275285295305315325335345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