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과학동아 l1995년 02호
- 그래프를 그리면 이 두 직선은 x=$\frac{100}{9}$ 의 자리에서 만난다.y=xy=$\frac{1}{10}$x=10 10x=x+100x=$\frac{100}{9}$=11.1111… 하지만 10과 $\frac{100}{9}$사이에는 무한개의 점이 있다. 그사이의 점들에 관해서 일일이 따져가면 x=$\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2호
-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② 큰곰자리의 은하들(M81, M82)1995.1.10 강원도 원주군 운남면 Pentax 100㎜ SDUF(f4), Nikon FM2, 필름 Kodak Gold Ⅲ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30분큰곰자리에서 가장 잘 보이는 두 은하로 위쪽에 큰 은하가 M81이고 아래쪽의 작은 것이 M82이다. M81은 핵이 밝 ...
- 세계 최대 전자도서관-이용료 비싼게 흠과학동아 l1995년 02호
- 영국 프랑 스 일본 등의 국가는 미국에 뒤떨어져 있지만 이들 역시 2000년경에는 기업정보 100% 생활정보의 50%가 데이터베이스화된다. 따라서 정보획득의 창구로서 데이터베이스에의 의존도는 현재보다 더 현격하게 높아질 전망이다.또한 지금까지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가 문자와 수치 ... ...
- 동물의 세계에도 '남아선호'있다과학동아 l1995년 02호
- 따른 연도별 출생 성비 변화 추세를 보면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1960년 여아 100을 기준으로 성비가 105.8정도로 정상적인 상태라 한다면 점차 남자아이의 비율이 커져서 1990년에는 112.5에 달하고 있다. 물론 올해에 조사를 다시 해봐야 알겠지만, 최근 분위기로 봐서 그 수치가 낮아질 ... ...
- 2 IQ 검사 왜 하는가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알려져 있다. 그 결과는 개인마다 IQ(intelligence quotient, 지능지수)라는 수치로 나타난다. 100이 표준이 된다. 지능검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개 어휘, 수리추론, 유비추론, 형태인식을 결합한 것이다.IQ는 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에 불과한데도 일반적으로는 머리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 ...
- 3 검사, 언제부터 비롯됐나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의미에서 관심거리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분명 과거의 위인들은 평균치인 100보다는 높은 IQ를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그에 따르면 희대의 석학 괴테의 IQ가 180으로 가장 높다. 천재 음악가인 모차르트가 150인데, IQ와는 또다른 차원의 재능도 측정기준의 일부가 되었는지는 ... ...
- 2 인공조직 개발, 피부·근육·뼈도 바꾼다과학동아 l1995년 01호
- 금속마찰음이 들렸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으며 , 금속의 마모로 인한 부작용으로 100% 실패하기도 했다고 한다. UHMWPE가 현재 최적의 재료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도 마찰로 인한 마모의 문제는 완전히 해결된 상태가 아니다. 인공관절 연구분야 중 가장 연구가 활발한 분야의 하나가 마찰로 인한 ... ...
- 별자리 테마여행-오리온자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오리온의 등장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Pentax K 1000, 50㎜(f 2) 필름 provia 100, 30분 고정 촬영 ② 아르테미스를 찾는 오리온1994.11.25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Pentax K 1000, 35㎜ zoom(f 3.6), 필름 provia 100, 15분 고정 촬영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전국의 각 분야 전문과학 기술자들이 제안한 3만여 개의 예측대상 과제 중 약 1천2백 개의 과제를 선정, 4천5백명의 과학기술자를 상대로 설문조사한 제1회 과학기술예측조사가 나왔다. 이 예측조사 결과에는 2000년대 한국의 과학기술력과 세계 빅7의 비전이 담겨 있다.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 ...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1호
- 곳에 보이는 은하는 M110(NGC 205)이다. ④ 별똥별1994년 12월 6일 새벽, 지리산 성삼재 Pentax K 1000, 50㎜ (f2), 필름 provia 100, 고정 촬영 10분아침 여명이 밝아올 무렵 두 개의 유성이 카메라의 시야 속으로 뛰어들었다. 하루 중 별동별이 가장 많이 떨어지는 시간이 바로 새벽이다. 이것은 ...
이전5275285295305315325335345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