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39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육종학회 회장에 강시용 원자력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1.02
지난해 7월 한국육종학회 조직위원장으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서 국제학술대회를
성공
적으로 개최하기도 했다. 강 회장은 “첨단 신육종기술의 연구개발 활성화와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가들의 경험과 기술을 제공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겠다”며 “새로운 첨단 육종 및 생명공학 기술로 ... ...
[전망2020] 암흑물질 관측 망원경 시험가동, 차세대 발사체 시험발사 목전
동아사이언스
l
2020.01.01
아리안 5는 올해까지 106번의 발사를
성공
적으로 마무리했다. 부분
성공
을 퐘해 발사
성공
률이 99%에 육박하는 아리안 5는 안정성 측면에서 최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2년까지 11번의 추가 발사가 이미 예정돼 있다. 하지만 아리안스페이스는 우주발사체 시장의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새 ... ...
우주로,우주로… 2020년 그동안 보지 못했던 우주개척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달의 먼지 샘플을 수집해 지구로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개발됐다. 창어 5호가 임무에
성공
하면 아폴로 임무 이후 처음으로 달의 물질을 지구로 가져오게 된다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 중국 과학자 결국 철창신세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가진 쌍둥이인 ‘루루’와 ‘나나’를 얻는 데
성공
했다고 밝혔다. 허 전 교수는 출산에
성공
한 유전자 편집 쌍둥이 외에도 다른 부부도 유전자 편집 아기를 임신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곧바로 팀을 꾸려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팀에 따르면 지난 2016년 6월 허 교수는 사비를 들여 외국인 ... ...
[전망2020] 과학동아가 뽑은 2020년 기대되는 과학 성과
과학동아
l
2019.12.30
QUESS)인 ‘모쯔(墨子)’를 쏘아 올려 최장 7600km 떨어진 거리에서 무선 양자통신에
성공
한 바 있습니다. 2020년에는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시에 약 37만m2 규모의 국립양자정보과학연구소도 완공될 예정입니다. 2013년 ‘국가양자기술프로그램(UK National Quantum Technologies Programme)’을 시작한 영국 정부는 ... ...
버려지던 목재폐기물 '리그닌' 고부가가치 물질로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액상에 포함된 독성물질을 흡착해 제거하는 ‘활성탄’의 강도를 높이는데
성공
했다. 연구팀은 “리그닌과 활성탄은 모두 물을 싫어하는 성질이 있어 수용액에서 서로 강하게 결합해 복합체가 더욱 단단해진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리그닌의 분자적 상호작용원리를 분석했고 리그닌의 ... ...
굿바이 2019, 과학동아 선정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12.30
의대 연구팀은 생물학적으로 죽은 지 약 4시간이 지난 돼지의 뇌 신경세포를 되살리는 데
성공
했습니다.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을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프로젝트를 진행해 단 2마리를
성공
적으로 부화시켜 방사시킨 것은 보기에 따라서는
성공
이 아니라 실패"라며 "하지만 수천 km를 비행하며 수많은 위기에 놓여 있는 철새를 살렸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넓적부리도요의 다리에 달린 태그를 이용해 비행 경로를 추적하고, 사냥이나 ... ...
양자우월성 달성하고 블랙홀 찍고…BBC가 뽑은 올해 대단한 스토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탐사선 ‘뉴 허라이즌스'호는 약 3500km까지 스쳐 지나가며 울티마 툴레를 촬영하는데
성공
했다. 그 결과 울티마 툴레는 납작한 공 모양 천체 두 개가 서로 붙은 눈사람 모양의 소행성으로 확인됐다. 지름이 14km와 19km인 천체 두 개가 각각의 중력에 이끌려 빙글빙글 돌다 지금의 형태에 이른 것으로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분비하지 못하는 제1형 당뇨병환자에게 미니돼지의 췌도를 이식하는 임상시험에
성공
하기도 했다. 인간 만능유도줄기세포 키워 만든 인공장기 중국베이징줄기세포생식연구소 연구팀이 키메라 돼지를 만든 방법. 원숭이의 줄기세포를 돼지 배아에 넣고, 엄마 돼지에게 이식해 탄생시켰다 ... ...
이전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