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64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박학다식함이 버무려진 강의로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고 덧붙였다. 어릴 때부터
전자
장치를 만드는 걸 좋아했던 로널드 드레버는 1987년 출범한 라이고 프로젝트의 설립자로 검출기를 설계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드레버는 말년에 치매로 고생하다 올해 3월 7일 타계했다. - 칼텍 아카이브 제공 ... ...
어떤 장내 미생물이 몸에서 빨리 변이를 일으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과학 - 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인간의 구강 내 세균을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뒤 색을 입힌 모습이 담겼다. 2012년부터 시작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의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의 ... ...
구글의 새 스마트폰 픽셀2의 의미
2017.10.07
18:9 비율 화면을 쓴다. 이미 소문으로 돌았던 것처럼 픽셀2XL은 LG
전자
가 생산하는데, LG
전자
의 V30과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설계의 많은 부분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18:9의 OLED 화면도 V30에서 출발한 것이다. 픽셀2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HTC가 생산한다. 구글이 얼마 전 HTC를 인수하긴 했지만 기업을 ... ...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
2017.10.05
되는 막단백질이나 분자수준의 복합체도 쉽게 묘사할 수 있다. 그러나 작은 단백질은
전자
현미경으로 연구할 수 없다. 작은 단백질을 보려면 NMR나 X선 결정법을 써야 한다. 1975년 뒤보쉐가 자신의 이미지 기법을 공개했을 때, 한 연구자는 “만약 이 기술이 완성된다면, 과학자들에게 제약이란 ... ...
[2017 노벨 화학상] ‘극저온
전자
현미경’ 개발 자크 뒤보쉐, 요아킴 프랭크, 리처드 헨더슨(2보)
동아사이언스
l
2017.10.04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뇌에서 분리해낸 타우 필라멘트의 정밀 구조를 극저온
전자
현미경으로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서영덕 한국화학연구원 나노라만융합연구센터장은 “세포 환경에서 표적 단백질의 분자 구조를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
2017.10.04
늘어날 것이다. 그동안은 우주를 탐사하는 데 우주선(線)이나 중성미자 같은
전자
기파나 입자들이 활용돼 왔다. 그러나 중력파는 시공간에 생긴 혼란 그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다. 이는 이전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고 새로운 도구로 그동안 보지 못했던 세계를 새롭게 열었다. 중력파를 ... ...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
과학동아
l
2017.10.03
유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행성들이 저마다 주변 우주 환경과
전자
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doi:10.1038/nature2364 ... ...
암 진단 PET 장비 핵심 방사성 동위원소, 국산 기술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8
활용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국내 기술로 생산할 수 있게 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양
전자
방출단층촬영(PET) 검사 등 영상진단에 사용하는 ‘지르코늄-89’의 양산 시스템 구축을 마쳤다고 28일 밝혔다. 허민구·박정훈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 연구원 팀이 개발한 이 시스템은 의료용 ... ...
나노미터~센티미터, 모두 보는 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표준연 연구진이 개발한 ‘광
전자
융합현미경’으로 시료를 관찰하고 있다. 오른쪽이 조복래 연구원의 모습.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구글 어스’ ... “추가 연구를 통해 2019년엔 1nm급 해상도를 제공하는 ‘초고속·초고분해능 광
전자
융합현미경’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5
원리에 대해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싶다고 했다. 박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광·
전자
소자에 활용하기 좋은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은 알지만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 게 없다”며 “언젠가 그 원리를 알게 된다면 새로운 물질을 디자인할 수도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527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