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이들을 통칭해서 색소라고 부르는데, 빨강(r) 녹색(g) 파랑(b) 색소가 있다. 이 세가지
빛
깔을 혼합하면 백색이 되듯이 양성자와 중성자는 색소가 없다 (강작용의 부하가 없다는 뜻). 또 쿼크는 색소를 갖지만, 반쿼크는 반색소(반빨강 반녹색 반파랑)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중간자도 역시 무(無)색소다 ... ...
올해가 오로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
빛
의 판타지'라 불리는 오로라가 올해들어 한층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보통 북위 65°~85°지점에서 관측되는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사되는 하전입자가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것. 오로라는 흑점활동이 활발할 때에 자주 일어나는데, 올해가 바로 11년 주기의 태양 흑점 최절정기에 ... ...
손에 쥔 리모콘 안에는…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보낸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 수신측까지의 거리의 장단, 그리고 리모콘이 보내는
빛
의 강도의 강약을 불문하고 수신측에서는 일정하고 안정된 동작을 취해야 한다. 따라서 송신측(리모콘측)의 사정을 수신측에 제대로 알려주어 기기가 오(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원자 하나씩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그런데 전자는 초점을 맞출 수 있고, 물질로부터의 반사도 가능했다. 그 결과 평범한
빛
을 이용한 현미경보다 훨씬 강력한 전자현미경이 제조될 수 있었다.최초의 전자 현미경은 1932년 독일의 엔지니어인 어네스트 러스커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이로 인해 그는 1986년 노벨상을 수상하게 됐다.(무려 5 ... ...
바퀴벌레의 행동양식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보아 접근한다.정답1 ①일주기 개체를 등에 짊어진 무주기 개체는 종일토록 일정한
빛
의 조명하에 놓여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주기성 활동을 나타낸다.두 마리 사이에는 신경의 연락이 없으며, 체액만이 섞여 있을 뿐이다. 그런데도 이런 실험 결과가 나타난 것은 체액을 통해서 일주기성 ... ...
신은 주사위놀이를 좋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붙이면 현대물리학을 총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자. 옛부터 알려진 광학(光學), 즉
빛
이 굴절하고 회절하는 현상을 다루는 광학 앞에다 양자를 붙인 양자광학은 그 핵심이 레이저다. 그래서 흔히 레이저 물리라고 불리고 있다.다른 예로 전자기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학문을 전기역학이라고 한다. ... ...
공작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진주를 수놓은 아주 찬란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드레스도 공작의 드레스 앞에서는
빛
을 잃고 말 것이다. 더욱이 전자는 선택된 여왕에게만 허용된 것이지만 후자는 젊고 건강한 공작이면 예외없이 가질 수 있는 것이니 더욱 부러울 뿐이다.동물은 대체로 육지에 사는 조수류는 물론이고 물속에서 ... ...
파이오니어-내 어깨에 지워진 짐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해야 할지도 몰랐고 잘못되었다 해도 바로 잡아줄 사람이 없는 상황이었다. 실망의
빛
이 역력한 우리들에게 교수님은 '파이오니어'라는 크고 무거운 짐만 양 어깨에 잔뜩 얹어 주셨다.신생학문이 갖는 이런 어려움 외에도 나를 당황하게 만드는 것은 많았다. 그 대부분은 유전공학에 대한 피상적인 ... ...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달리 화면 자체가 단조로워 눈에 띄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모니터에서 나오는
빛
의 반사와 실내조명에 의한 반사가 심한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화면의 해상도를 떨어뜨리는 것은 아크릴계 보안경과 마찬가지. 최근에는 편광필터에 무반사코팅을 한 고가제품도 나오고 있다(일반 ... ...
우주 연구에 신기원 연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행성체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탄생한 지 얼마 안되는 별은 대개 자외선으로
빛
나지만 별을 둘러싼 먼지가 이 자외선을 흡수해버려 천문학자들이 별의 탄생과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준다. 그러나 자외선을 흡수한 먼지 속에서 생성된 열은 다시 적외선을 방출해 별의 탄생에 관해 ... ...
이전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