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방
전면
앞쪽
표면
정면
선두
프런트
d라이브러리
"
앞
"(으)로 총 1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오른손을 올리고 있는데 마주 보고 있어 이런 착각을 하는 것이다. 사실은 좌우가 아니라
앞
뒤 대칭이다. 거울에 여러 가지 물체를 비춰 보면서 거울의 원리를 살펴보자. 아하! 생각이 쑥쑥! 거울로 보는 미술작품이 있다! 없다? 한스 홀바인 2세의 1532년 작품 ‘대사들’을 보면 두 명의 남자가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영준이에게 줄 발명품은 지금은 상상도 못할 멋진 발명품으로 만들 수 있을 텐데! 문구,
앞
으로 어떻게 발전할까?미래의 학용품은 디자인을 입는다미래의 학용품은 성별, 연령, 장애의 유무 등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세히 보면 위가 볼록하고 아래가 평평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날개를 가진 비행기가
앞
으로 나가면 날개 주위에 공기가 흐르는데, 이때 위로 흐르는 공기는 아래 공기보다 이동거리가 길어 더 빨리 흐른다. 이때 빠르게 흐르는 공기는 천천히 흐르는 공기보다 압력이 낮다. 이런 압력차이가 날개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야구에 유리한 손 있다왼손 타자는 공을 친 다음 1루까지 거리가 짧다. 하지만 왼손 투수
앞
에서는 불리하기 마련이다. 왼손 투수의 공은 왼손 타자의 몸쪽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치기 어렵다. 왼손 투수는 1루 주자를 쉽게 견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오른손과 왼손의 차이는 ... ...
생물의 다양성 보존을 위한 수학 모형 개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예측하는 것은 잘못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연구팀의 수학 모형은
앞
으로 자연 보호 지역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다음은 중학교 3학년에서 배우는 이차 함수에 관한 내용입니다. 교과서는 문제보다
앞
서 실제 상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행기에서 뛰어내릴 때 걸리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거리를 함수로 만들고 이를 표와 함수식으로 만든 실제 예를 통한 문제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걸음을 걸을 때도 시간에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국민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행사다. 즉 수익 확대를 통한 경기 활성화는 쉽지 않다.
앞
으로 F1은 새로운 서킷을 짓기보다는 기존 서킷을 보수하거나 머신과 경기방법을 친환경적으로 보강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는 물질이야말로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우리는
앞
으로 매운 맛을 내는 물질도 개발할 예정이다. 고추장과 고춧가루, 김치가 절대 빠질 수 없는 한국 식품에서 매운 맛은 단연 중요하다. 그런데 매운 맛은 기본 맛으로 분류되지 않고 있다. 자극으로 인해 톡 쏘는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말이 농장
앞
마당이지 축구장만큼이나 넓어보였다. 농장주인은 우리의 사정을 전해 듣고
앞
마당 사용을 흔쾌히 허락했다. 이 마을의 별빛 인심은 하늘의 별만큼이나 후했다. 농장 마당이라 그런지 아늑한 느낌이다. 지난밤의 흥분을 가라앉히고 남십자자리에서 에타카리나 성운까지 눈걸음을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진처럼 원근법과 형태학적인 요소가 모두 들어맞았다. 당시 다빈치가 실제 모델을
앞
에 두고 그렸음을 짐작할 수 있다.뛰어난 화가면서 해부학에도 조예가 깊었던 다빈치가 유일하게 모나리자를 그릴 때에만 실수를 저질렀을까, 아님 일부러 불균형하게 그렸던 것일까. 조 교수는 “모나리자가 ... ...
이전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