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심각한 문제가 있지 않는가하는 의문을 제기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 분야를 전공하는
학자
들은 한결같이 오히려 허블상수 결정법에 더 의문을 제시한다. 그 이유는 항성진화이론은 비교적 확립된 물리법칙과 실험결과에 근거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큰 오차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 ...
성전환수술 9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되고 여성호르몬의 분비가 넘치면 대음순이 된다.성전환증이 후천적인 질환이라고 믿는
학자
들이 더 많다. 유아기 소아기의 가족환경 또는 심리적인 면이 육체적 성과 행태적 성의 불일치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필자의 임상경험을 통해서도 유전적(염색체) 및 내분비적(호르몬) 이상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여겨진다. 일반인들의 IQ에 대한 믿음은 맹신에 가깝다. 그러나 IQ는 일부 교육
학자
와 심리
학자
에게 한정된 공간에서 의미를 가질 뿐이다. IQ 또한 통계이며 그것도 매우 불확실한 통계이기 때문이다.지능검사가 측정하는 내용이 지능이 아니라는 점은 논외로 하더라도, IQ가 의도하고 있는 것은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과거 지질시대 동안의 집단멸종에 버금가는 규모다. 또한 이는 미국 시카고대의 고생물
학자
데이비드 라우프가 추정한 자연멸종률(1백년에 약 90종)의 4만배가 넘는 것이다.과거의 집단멸종과는 달리 현대의 멸종은 인간에 의한 무분별한 개발과 소비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다. 서식처 파괴, 인구의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숫자는 아니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의 수치인 것만은 틀림없다. 그러나 행성천문
학자
이며 '코스모스'의 저자인 칼 세이건은 드레이크방정식에 자신의 믿음대로 숫자를 대입해 1백만개라는 답을 발표한 바도 있기 때문에 10만개가 결코 황당한 숫자는 아니라는 것이 낙관론자들의 주장 ... ...
북미산 검둥오리, 깃털 화려한 새끼 편애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나타나는 화려한 깃털색처음 이런 특이한 오렌지색 깃털의 화려한 새끼를 발견한 뒤 과
학자
들은 그 이유를 배우자 선택시 나타나는 화려한 수컷의 깃털 장식과 연관지어 보려고 했다. 그러나 이 깃털 색은 생후 3주만 되면 다 사라진다. 그러므로 성선 택 보다 더 직접 이 깃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 ...
얼룩 하이에나, 성비 조절로 열악한 환경적응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아들 딸을 가려 낳을까? 이에 대한 답은 아직 명쾌하지 않다. 미국 버클리대학 생물
학자
로렌스 프랭크는 생존하기에 불리한 환경 하에서는 암컷 새끼들을 죽여서 수컷이 많은 성비를 조성하는 것이지 결코 암컷 새끼를 더 많이 낳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딸들의 수난'은 무리가 둘로 ... ...
1.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동물의 세계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이 손짓 발짓을 러시아의 물리
학자
파블로프는 '신호'라고 이름붙였다. 그러나 인간은 신호에만 의존해서 생활하기에는 너무 두뇌가 커져버렸다. 경험의 축적과 지능의 발달은 손짓발짓에 해당하는 의사를 특정한 음으로 대응시킴으로써 ... ...
남자는 뇌가 크고 여자는 뉴런이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자극을 전달하는데 비해 어떤 것들은 면을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세계는 철
학자
데카르트의 말처럼 인간 지성활동이 육화된 것일지도 모른다고 구르 박사는 말한다."데카르트는 우리가 우리 세계를 창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저 밖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세계도 있다"는 것이다.구르 ... ...
컴퓨터 인간지능 지닐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탁월한 연산 능력을 자랑하는 컴퓨터의 등장 이후 이 분야
학자
들은 '인간과 같은 기계'의 개발에 몰두해왔지만, 아직 그런 기계가 등장했다는 소식은 어디에서는 들리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 시도는 애초부터 실현불가능한 꿈에 불과한 것이었을까? ...
이전
528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