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돌며, 지름은 1000km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명왕성보다는 훨씬 작다). 하지만 올해 3월 ‘네이처’에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2년 처음 발견됐다. 이 천체는 긴 궤도 반지름이 약 500AU으로, 세드나의 절반 정도다. 이들은 오르트 구름의 안쪽 경계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늦여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뉴턴의 사과나무’ 옆에 노란 컨테이너 9개가 나타났다. 한 컨테이너 안에 들어서자 소수점 9자리까지 표시된 디지털시계가 제일 ... 말을 새겨 봄직하다. 처음부터 엄청난 것을 기대하면 금물이다. 아직은 서로 더 많이 친해질 시간과 기회가 필요하다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앞니를 앙다물고 당겨 가 죽을 부드럽게 했다. 그러자면 이를 지탱할 만큼 목근육도 발달해야 한다. 네안데르탈인은 온 몸이 상처투성이로, 뼈가 부러지고 붙는 일은 다반사 였다. 머리에도 무수한 상처를 입었다. 만약 네안데르탈인의 얼굴을 볼 수 있다면, 우리는 아마 고된 삶의 흔적을 발견할 수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선정해 과제당 최대 500만원을 지원하는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마련한 것이 ‘1사 1학생(연구과제) 후원 캠페인’으로, 취지에 공감한 기업이 필요한 연구자금을 장학금 형태로 지원하는 것이다.캠페인 소식을 들은 포항상공회의소와 포항철강관리공단이 적극 나서면서 ...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우, 윗사람 때문에 화가 나서 돌 지경이에요. 걸핏하면 아랫사람 탓이나 하고. 뚜껑이 열리기 직전이라고요.”“요즘 젊은 것들, 보고만 있어도 머리끝까지 화 ... 경험이 문제의 주된 요인이라면 우리가 서로를 대하는 방식에 대해서 한 번쯤은 성찰해 보는 것도 의미 있지 않을까요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런 경우가 많대. 내가 가끔 기억이 헷갈리거나 너희 엄마가 갑자기 깜빡깜빡하기 시작해도 ‘뇌의 변화구나~’ 하면서 넘겨 주렴. 뭐, 이 주변은 너나 너희 엄마보다 내가 더 잘 기억하겠지만 말이다~. 이제 달려 볼까? 야호!빨간 모자는 빨간 오토바이에 타고 빨간 두건을 쓴 할머니와 함께 ... ...
- [포토뉴스] 수학으로 해양 오염 막는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멀리 떨어진 곳까지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면서, “국제적 이슈인 해양 오염 문제를 두고 우리 모델이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있다.“저는 기계적 퍼즐을 주로 다루는 오스카 반 디벤터와 베사 티모넨을 존경해요. 우리나라에도 이분들과 같이 퍼즐을 만드는 사람이 늘어나 퍼즐이 대중화 되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을 가지고 있어요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로봇들도 생체운동 분석 연구 덕분에 더욱 발전하고 있다. 모션캡처를 좀 더 보완해서 사람의 표정이나 눈동자, 모공 등 사람의 섬세한 움직임까지 가상 캐릭터에 표현하는 기술인 ‘이모션캡처’가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가상의 캐릭터가 사람과 같은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친구 집에 갔더니 화분에 예쁜 장미꽃이 피어서 “장미꽃이다”하고 달려갔어요. 그런데 친구 어머님이 장미가 아니고 ‘엘라티오르베고니아’라는 거예요. 장미랑 똑같이 생 ... 세기 이후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져 18세기 이전의 장미를 고대장미, 이후를 현대장미라고 구분하기도 해요 ... ...
이전528529530531532533534535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