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용해 우주쓰레기를 관측하는 방법도 있어. 레이더에 비해 효율은 떨어지지만
눈
으로 직접 보기 때문에 더 정확해. 하지만 우주쓰레기가 태양빛을 반사하지 않으면 볼 수 없기 때문에 우주쓰레기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리면 찾을 수 없단다. 레이저인공위성의 궤도와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 ...
[신경과학] 명상 오래하면 감정 다스리기 쉬운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감정에 변화가 생기거나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때, 식욕 같은 욕구가 생길 때 오른쪽
눈
바로 뒤에 있는 안와전두피질이 활성화된다.반면에 안와전두피질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강박충동장애나 자폐증이 생겨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더스 박사는 “오랫동안 명상을 한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시나리오에 따르면 대륙들이 적도 근처에 모일 때 빙하주기에 들어간다. 극지에
눈
이 덮이면 햇빛을 반사해 결국 지구 전체가 얼음으로 덮인다. 그러나 화산활동으로 이산화탄소가 분출해 대기 중 농도가 올라가면 온실효과로 다시 따뜻해져 얼음을 녹인다. 이런 주기가 반복되는 동안 광합성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선로도 비슷하잖아? KTX 같은 고속열차는 전용 선로도 있다고 어디서 들은 것 같은데….
눈
으로 볼 때는 왜 일반선로와 차이가 없을까.모든 선로의 너비는 1.435m1800년대 마차는 나무 목재로 만든 선로 위를 다녔는데 이것이 철도의 선로를 제작할 때 기준이 됐다. 당시 나무선로의 폭(궤간)은 마차를 ... ...
잠자는 명화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부드럽게 빻은 조개가루에 섞어 복원용 물감을 창조한다.하지만 이 부분은 복원가의
눈
으로 보면 오류 자체다. 아무리 훼손된 부분이라도 물감을 칼로 긁어내는 행위는 원작을 훼손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조개가루로 물감을 만드는 것도 영화 속 설정일 뿐이다.그렇다면 복원가마다 사용하는 ... ...
머릿속이 투명한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사진에서 물고기의
눈
을 찾아보세요. 입 위에 있는 두 개의 구멍이
눈
이라고요? 아쉽게도 그건 콧구멍이랍니다. 투명한 머릿속에 들어 있는 ... 있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미국 몬터레이만 해양연구소의 연구결과 관 모양의
눈
이 머릿속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 ...
은반 위의 과학! 피겨스케이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경기 전에 긴장을 풀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가장 많이 쓰는 방법 중의 하나는 심상훈련!
눈
을 감고 실제로 경기를 하는 자신의 모습을 그려 보는 거야. 실제 경기가 4분이라면 이 심상훈련도 똑같이 4분으로 진행되고, 심하게 몰입하는 경우에는 정말 경기를 하고 난 것처럼 땀을 흘리고 숨을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사용하면 모터 하나를 갖고 사람
눈
처럼 자연스럽게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로봇
눈
을 만들 수 있다.특히 압전 모터는 반응 속도가 빠르고 기어가 필요 없이 진동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작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일반 모터와 달리 미끄러지지 않고 nm(나노미터, 1nm=10-9 m) 규모로 정밀하게 움직일 수 ... ...
방송국에 숨어 있는 빛과 소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파라이트’와 여러 가지 특수효과를 만드는 ‘무빙라이트’가 있다. 무대에서
눈
을 뗄 수 없을 정도로 화려하고 노래와 춤에 푹 빠져들게 만드는 것이 바로 40~50개의 무빙라이트다. 무빙라이트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움직일 뿐 아니라 빛의 색깔과 무늬도 마음대로 바꾼다.조명이 달린 곳은 ... ...
투명하게 빛나는 LED 사인보드 ‘루미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푸른빛이 은은하게 퍼진다. 그런데 어찌된 일일까. 전구에 연결된 전선이 보이질 않는다.
눈
에 보이진 않지만 수십 μm 크기(마이크로미터, 1μm=10-6m)의 초미세회로(패턴)가 LED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탑나노시스가 지난 4월 새로 출시한 사인보드(간판의 일종) ‘루미시스’는 ... ...
이전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