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유전자 백과사전’ 나왔다
2016.05.03
한양대 의과대 교수 - 한양대 의과대 제공 한국
연구진
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
이 세계 최대규모의 유방암 환자 게놈(유전체) 프로젝트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네이처’ 2일자에 발표했다. 결과물에는 국내 유방암 환자 83명을 포함해 전세계 유방암 환자 560명의 전체 게놈 분석 결과가 담겼다. ... ...
맛난 음식, 향기로운 냄새 즐기다 빨리 늙을라
2016.05.02
수명연장에 관여하는 인자의 활동을 둔화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
은 신경세포와 수명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빛으로 감각 신경계를 자극해본 결과, 칼로리 섭취가 없어도 실험동물의 수명이 실제로 바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교수는 “음식을 실제로 먹지 ... ...
유기태양전지 프린팅, “참 쉽죠”
2016.05.02
데 성공했다. 나노혼합물이 자발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활용한 것이다. 그 결과
연구진
은 6번 걸리던 공정 단계를 4번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광변환 효율은 9.1%로 기존 무기태양전지의 광변환 효율 최대치(10%)에 근접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로 적층형 ... ...
“‘녹조라떼’ 호수 속 지하수 순환으로 없앤다”
2016.05.02
반대로 산소 농도가 높으면 미생물의 질소 변환 활동이 일어나지 않았다. 지질연
연구진
은 이번 연구결과가 보를 설치해 호수와 비슷한 생태계를 보이는 국내 4대강 등 다양한 환경개선에 연구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 연구원은 “지하수의 순환 과정과 현상을 이해하는 연구가 ... ...
유방암 세포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찾았다
2016.05.02
새 전사인자(ZNF224)를 발굴하고 유방암과의 관련성도 규명했다. - 아주대 제공 국내
연구진
이 유방암 세포의 성장과 사멸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발견했다. 박상규 아주대 약대 교수팀은 유방암 환자의 조직에서 많이 발견되는 새 인자를 찾아 유방암 발생과의 관련성을 규명했다고 2일 ... ...
[19禁] 정자 에너지 사용하는 ‘슈퍼히어로’가 왔다
2016.05.01
적다는 것이다. 크기와 수 중 어떤 것을 우선시 할지는 진화의 결과물로 나타난다.
연구진
은 크기가 작은 종일수록 정자가 큰 이유를 2가지로 설명했다. 첫째는 신진대사 능력 차이다. 크기가 작은 동물일수록 신진대사 기능이 좋아 새 정자를 더 빠르게 생산할 수 있다. 가령 신진대사가 느린 ... ...
“네 말을 들으면 내 뇌의 ○○ 부위가 반응해”
2016.05.01
시각이나 촉각과 관련 있는 어휘이고, 빨간색은 사회성과 관련돼 있다. 이를 통해
연구진
은 좌뇌와 우뇌의 대뇌 피질 위에 방대한 양의 어휘를 세세하게 표시한 어휘 지도를 완성할 수 있었다. 이 지도에는 대뇌 피질 위 100여개의 부위에 각 의미 체계가 넓게 분포돼 있다. 각 체계의 분포 ... ...
내 마음을 읽어봐! 사람의 얼굴 표정에 반응하는 말(馬)
2016.04.30
처리하기 때문인데요. 이는 애완견을 비롯한 다른 동물들에게서도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연구진
은 말들의 이러한 반응들로 볼 때, 그들이 사람의 화난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사람의 얼굴 표정을 보고 동물의 심장박동이 변화한 것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 ...
7200억 원 투입한 인공위성 ‘천리안 2호’ 조립현장 가 보니
2016.04.29
기업이 참여해 국산화했다”고 말했다. ●‘천리안 2호’ 통해 위성 제작 국산화
연구진
은 올해 초까지 위성의 내구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실험용 인공위성인 ‘열진동시험모델(STM)’을 만들어 테스트를 진행해왔다. 겉모습은 천리안 2호와 동일하지만, 내부에 전자 장비가 없다. 발사체에 실려 ... ...
韓
연구진
주도 우주망원경, 28일 러시아서 발사 성공
2016.04.29
패스파인더 우주망원경의 실제 모습.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
연구진
주도로 개발한 우주망원경 ‘UFFO-패스파인더’가 28일 우주로 발사된 뒤 궤도에 안착해 지상과의 교신에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우주망원경은 우주에서 가장 큰 폭발 현상인 감마선 폭발을 관측하기 ... ...
이전
529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