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4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염수 속 방사성폐기물 먹어 치우는 미생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4.24
공정의 특허 등록 및 기술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영국왕립
화학
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케미컬 커뮤니케이션’ 4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암세포만 골라 없애고 분해돼 사라지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7.04.24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만 골라 없앤 뒤 분해돼 사라지는 암 치료 물질을 개발했다. 항암제나 방사선 등 환자들에게 부작용으 ... 시간 안에 전임상 및 임상 시험을 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응용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2D 머티리얼스’ 11일자에 게재됐다 ... ...
함께하는 과학행진(March for Science):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
과학동아
l
2017.04.23
대한 인식이 바뀐다. 그 사실을 체험하게 하고 싶었다.” (강미량 포스텍
화학
과 4학년) 연구자 주도 연구 지원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 윤신영 ... ...
[과학책을 만나다(1)] “아이가 질문을 잘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22
만든 인생을 쥐어 주는 게 아니라, 스스로 찾아가게끔 해야할 텐데요. -책을 보니
화학
뿐 아니라 전체를 다뤘던데요, 어려움은 없었나요? ▲업무를 하다보니 과학의 여러 분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가 잘 합성됐는지를 보려면 라만분광법 장비가 있어야 하는데요. 여러 ... ...
“4차 산업혁명기에는 과기거버넌스에 강력한 조정력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국장이 ‘제4차 산업혁명과 대한민국의 기회’를 주제로 발표했고, 고영주 한국
화학
연구원 박사가 ‘제4차 산업혁명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혁신’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지는 토론에선 연사 세 명과 김준익 건국대 교수, 채일권 한양대 교수, 강진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박사가 함께 토론을 ... ...
‘한강의 기적’ 이끈 KIST 성공신화, 베트남에서 다시 쓴다
2017.04.21
돕는다’는 내용이었다. 연구소 건립을 책임질 초대 원장으로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화학
야금학 박사학위를 받은 최형섭 박사(전 과학기술처 장관)가 낙점됐다. 그는 미국 측에 “한국 실정에 맞는 연구가 필요하니 산업연구 중심의 ‘바텔연구소’ 시스템을 도입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이렇게 ... ...
[미래학교를 꿈꾸다①] 미래학교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20
핀란드 까사부오렌 학교 4) (인성 우선 추구) 인성교육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예:
화학
시간에 자유롭게 주기율표를 분석하는 학생들의 특징을 관찰해 호기심영역 분석)하는 영국 버밍업대학 부설중학교 5) (포용 우선 추구)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 살고 있는 지역사회(약 50여 인종) ... ...
DNA로 만든 다이아몬드 구조 광결정
과학동아
l
2017.04.20
선택적으로 반사시키는 재료로 고효율 광소자를 만드는 데 쓰인다. 이기라 성균관대
화학
공학부 교수팀은 서로 짝을 이루는 유전자 정보를 갖는 DNA를 나노입자에 붙이고, 이것들이 짝을 찾아 결합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탄소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결정의 3차원 구조와 같은 배열을 나노입자가 ... ...
화면을 누르는 세기까지 포착하는 터치스크린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터치스크린 개발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고현협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 교수팀은 미국 듀크대와 공동으로 은 나노와이어로 만든 투명 ‘플렉시블 역학변색형 압력감지 터치스크린’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터치스크린은 사람의 손이나 펜 등 물체가 닿으면 접촉 ... ...
뇌 20배 이상 팽창…20나노미터 초미세구조까지 정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7.04.18
주면 뇌 조직 내의 하이드로겔이 물을 흡수하면서 뇌가 팽창하는 원리다. 장 교수는 “
화학
처리를 거쳐 20배로 팽창한 뇌는 물에 넣었을 때 보이지 않는 완전 투명 상태가 된다”며 “이를 활용하면 뇌신경세포(뉴런)들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배양세포에 한해서는 ... ...
이전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