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
물
과 몸이 닿을 때 열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둘 사이의 온도차가 크고 열전도도가 큰
물
질일수록 열의 이동이 활발하다. 한겨울에 차가운 시멘트 바닥에 엉덩이를 깔고 앉으면 몇분을 버티기 어려운 것도 시멘트가 열을 계속 뺏기 때문이다.대류는 기체나 액체에서 부분적인 밀도차로 인해 생기는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또는 극저온 냉동기를 구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저온학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깊은
물
리적 사고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아직까지도 액체헬륨은 값비싼 저온유체(1L당 약 2만원)이며 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극저온 냉동기의 개발과 발달로 인해, 지금은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입구에 고드름이 녹으면서 그 안쪽이 보이게 됐다. 변 교수는 냉혈 안에서 녹았던 얼음이
물
이 됐다가 다시 언 투명한 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월에는 이 얼음도 녹기 시작했고 6월에는 깊숙한 안쪽에만 얼음이 남아있었다.6월 29일 얼음골에서 마지막까지 얼음이 남아있는 이곳에서 더이상 얼음을 ... ...
천하무적 풍선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뚝딱 실험1 찔러도 터지지 않는 풍선■ 왜 그럴까?!풍선은 공기를 가둬 놓는 공기주머니 역할을 한다. 풍선을 불었을 때는 고무의 탄력 때문에 풍선이 늘어난 상태 ... 만드는 고무의 재질에 따라 열이
물
로 전도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풍선 속에 담긴
물
이 끓기 전에 풍선이 터질 수 있다 ... ...
연료전지 수소 새면 오존층 파괴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예측됐다. 가벼운 수소가스는 하늘로 올라가고 성층권에서 산소와 만나
물
이 된다.
물
은 미세한 얼음 조각을 많이 만드는데 얼음 조각의 표면에서 오존이 잘 파괴돼 오존 구멍이 커지는 것이다. 연구팀은 남극의 오존구멍은 지금보다 7%, 북극의 오존구멍은 8%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융 교수는 ... ...
2 외계생명체 찾는 첨단로봇들의 화성침공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상당량 얼음의 존재가 추정됐기 때문에 두더지 로봇의 역할은 중요하다. 어디선가
물
을 발견하고 생명체를 발견할 수도 있으니까.실제로 미니 실험실에서는 표본을 분석해 생명체의 ‘화학적 지문’이 있는지 확인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찰스 다윈이 비글호를 타고 갈라파고스제도에 가서 ... ...
3 붉은 행성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인류의 꿈 가운데 하나는 영화에나 등장할 만한 우주 식민지에 대한 것이다. 우주 식민지의 제1후보는 다름아닌 화성. 지구에서 가깝기도 하지만 지구와 가장 비슷한 행 ... 가져올 계획 필요. 나아가 인간이 직접 화성을 방문해 암석을 만져보고땅을 파서 화성의
물
과 생명체를 연구해야 ... ...
한국 최초의 우주센터 외나로도에 건설 박차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일반인을 위한 우주체험관, 프레스센터다.발사대는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다른 건
물
들과 떨어져 있다. 로켓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가능한 빠른 시간에 자폭시키는데, 발사대와 함께 파괴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연료와 산화제는 발사 직전에 주입되기 때문에 저장시설은 발사대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얻어가는 잔인한 장르다. 산더미 만한 파도에 던져진 어부들은 재난영화의 등장인
물
로 충분하다는 말이다. 영화 퍼펙트 스톰은 폭풍과 파도라는 적절한 특수효과와 이에 맞서는 인간의 드라마를 보여줌으로써 재난영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는 듯하다.한국형 재난 블록버스터를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1865년 G J 멘델이 발표한 유전법칙 7년간의 완두 재배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논문《식
물
의 잡종에 관한 실험》에서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인정받지 못하다가, 그가 죽은 지 16년 만인 1900년에 독일의 K E 코렌스, 네덜란드의 H 드브리스, 오스트리아와 S E 체르마크 등 세 사람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 ...
이전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