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제작이 훨씬 쉬워질 것이다. 자가조립에 대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서울
대 연구진은 결함이 있는 기판에 자성원자인 코발트를 증착해, 그 결함 주위에만 물질이 성장해 아주 작은 나노구조를 만드는 자가조립 방법을 제시했다.소자 제작과 함께 개발한 소자를 관측할 수 있는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아파트 단지 내에서 아이들이 킥보드를 가지고 이곳 저곳 다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바라보는 이의 마음이 편치 못하다. 갑자기 나타나는 자동차나 장애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연 왜 그럴까.지난해 히트상품을 꼽으라면 어떤 것이 있을까. 삼성경제연구소가 실시한 조사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도달했을 때 자기적 성질이 최대가 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최근 필자의 연구팀,
서울
대 현택환 교수 연구팀, 그리고 머레이 박사를 비롯한 IBM 연구팀은 자기적 성질이 극대화되면서 동시에 크기가 매우 작고 균일한 크기의 구 형태 자성금속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이들의 규칙적인 배열을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주입하는 등의 치료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지난해 4월에 김교수는
서울
대 교수들과 함께 생명공학 벤처회사인 팬제노믹스를 설립했으며 팬제노믹스는 현재 간경화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또한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1천만 달러의 연구비를 받기도 했다 ... ...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북쪽(진북)과 자북은 일치하지 않는다. 이때 진북과 자북의 차이를 편각이라고 하는데,
서울
의 경우 편각은 6.5˚W(진북에 대해서 자침이 가리키는 북쪽이 6.5˚서쪽을 가리킨다)이다. 따라서 진북을 찾으려면 나침반이 가리키는 자북에서 6.5˚ 동쪽 방향을 찾아야 정확한 북쪽이 된다.이제는 모험이와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1984년 AT&T 벨연구소 박사후 연구원1984년-1986년 벨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연구원1986년-현재
서울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1991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최우수논문상 수상1995년 제5회 대한민국과학상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문제가 컸다고 한다.솜털처럼 가볍게 내리는 눈이 얼마나 무겁다는 것일까. 지난 1월 7일
서울
에 내린 15.6cm의 눈의 경우, 가로, 세로 1m 길이로 잘라 재보면 질량이 무려 2백20kg 정도. 1제곱미터의 공간에 질량이 70kg인 사람이 세명이 서있는 셈이다.그렇다면 눈에도 ‘습한’ 눈과 ‘건조한’ 눈이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나오는 시커먼 배기가스를 보면 창문을 열고 싶은 마음이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
과 같은 대도시의 뿌연 스모그 속에서 상쾌함을 기대한다는 것 자체가 잘못된 생각일지도 모른다.이런 환경 속에서 어떻게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을까. 자동차의 환풍기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더라도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느낌은 맞는 것일까. 또 이유없이 길이 막히는 이유는 무엇일까부산에서 명절을 지내고
서울
로 올라오는 차안의 박모씨. 이미 장시간 운전을 한 상태라 몸이 지쳐 있는데 자신의 차선은 별로 움직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옆 차선을 보면 옆 차선 차들은 꾸준히 앞으로 나가고 있는 것이다. ... ...
혜성처럼 살다간 별나그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그 후배들은 지금도 여전히 별을 보고 있으며, 가장 가까운 별친구로 남아있다.1989년
서울
천문동호회 결성과 1991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KAAS) 결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그는 우리나라 아마추어 천문학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자리잡았다. 1991년 여름 대학을 졸업한 그는 1992년에는 ... ...
이전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