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가능"(으)로 총 5,9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재 보존과학자를 만나다기사 l20160522
- 과학자 수는 얼마인가요? : 약 200여 명 정도입니다. 특히 한국은 이제 문화재 보존과학이 발전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늘 저는 문화재기자단 친구들과 같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문화재 보존에 대해서 많은 것을 보고 경험을 했습니다. 저의 꿈 중에 하나가 문화재 보존과학자입니다. TV를 통해 접한 내용을 직접 ...
- 진도에서 본 모세의 기적! 바다가 갈라지다!기사 l20160520
- 것일까요? 그 이유는 해활 현상때문입니다. 밀물과 썰물의 차가 4M일때 잘 일어난다고 합니다. 서해안은 밀물과 썰물의 차가 커서 가능한 일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 곳 말고도 바닷물이 갈리는 곳이 있습니다. 경기도화성군제부도, 전남영광 상하낙월도, 완도의노호도 노록도, 전남여수의 사도, 충남보령시무창포, 전북변산의 하섬 등이 있습니다. 바닷물 ...
- 인공지능 오목 게임, 알파오(YIXIN)에 대하여기사 l20160517
- . 알파오를 다운로드 하는 방법은? 알파오는 무료로 인터넷 상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영어만 조금 잘 하시면 한 방에 다운로드가 가능하답니다. (영어를 조금 잘해야 하는 이유 : 다운로드 할 때 영어로 뜨기 때문이랍니다!) 3. 알파오와 플레이 하는 방법 알파오는 인공지능이기 때문에 플레이어(자신)가 먼저 바둑돌을 놓으면 자동으로 ...
- 그러고 보니까..ㅋㅋ포스팅 l20160507
- 서로 DS를 주고받는 방법이 있네요...ㅋㅋㅋ방법?추천 누르기!ㅎ하루에 200번 가능ㅎㅎㅎ ...
- 해리포터 덕후로 거듭나기!포스팅 l20160507
- 오늘 드디어 주문한 음유시인 비들이야기가 도착했습니다!!!! 완전 행복행복^^ 이로써 호그와트 라이브러리 3권을 다 모으고 덕후로써 덕존심 상승했습니당.....ㅎㅎ 그래서 준비한 이벤트! 퀴즈를 맞추시면 제가 덕후님이라고 불러 ... 용의 품종을 적어주세요.(어디의 모모모) 1해그리드의 새끼용 노버트 2해리포터가 4편 불의 잔에서 싸웠던 용(인터넷 검색 ...
-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는 덴마크기사 l20160504
- 국가로 선정되었으며,우리나라는 58위에 올랐습니다. 이번 행복 순위는 국내총생산(GDP), 사회보장 장치, 수명, 자유로운 선택의 가능성, 관용, 부정부패에 대한 인식 등 총 여섯 가지의 주요 가치를 바탕으로 순위가 매겨졌으며, 각국에서 행복이 어떻게 분배되고 있는지 또한 살펴봄으로써 평등성과 그로 인한 영향을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 ...
- 개편 평가단 모집(?)포스팅 l20160502
- 개편을 평가..해볼까 합니다..기자님들도 댓글로 도와주세요.ㅎ*메모*하단 댓글바 사라짐. 약간 아쉬움.포스팅 할때 사진 여러개 한번에 못함. 매우 아쉬움.디자인 개선. 좋음.움짤 지원. 좋음.폿팅 복사 가능. 매우 좋음(칼댓때메).폿팅 수정 불가능. 아쉬움. ...
- 배아의 유전자 교정, 어떻게 생각하나요?토론 l20160429
- 유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유전자 교정을 통해 질병을 물려받지 않은 건강한 아기를 낳을 수 있어요. 하지만 이런 기술이 가능해진다면 부모가 원하는 대로 유전자를 교정하는 ‘맞춤형 아기’를 만드는 데 악용될 수도 있답니다. 유전자 교정, 유전병을 예방하는 좋은 기술일까요? 맞춤형 아기를 만들 수 있는 비윤리적인 기술일까요? 친구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지정되어 있지 장소에서 발견하였다고 하더라도 좌표를 공개해 버리면 극소수겠지만 적어도 몇몇은 앞다투어 채취해 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고생대 캄브리아기 때 바다였던 이곳은 역설적이게도 한국사람이 아니라 일본학자가 삼엽충 등과 같은 화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실제로 삼엽충에 관한 제1호 국내박사가 배출된 것이 1995년이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6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순릉: 인수 왕대비의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 " 공혜왕후 이야기기사 l20160420
- 위해 "내훈"이라는 저서까지 편찬(1475년, 성종 6)한 당대의 여성 지식인이었던 시어머니를 10대의 가냘픈 소녀가 감내하기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내훈의 첫 구절은 섬뜩할 정도다. 나는 홀어미인지라 옥 같은 마음의 며느리를 보고 싶구나. 이 때문에 [소학] [열녀] [여교] [명감] 등 지극히 적절하고 명백한 책이 있으나 복잡하고 권수 ...
이전5325335345355365375385395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