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6,039건 검색되었습니다.
혈관 찾기 도사 ‘모기’의 신비 풀렸다
2015.09.23
침 기관의 끝부분에 냄새를 맡는 감각모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그 속에서
동물
피가 내는 휘발성 냄새 성분에 강하게 반응하는 후각수용체 2개를 발견했다. 모기에 이들 수용체가 나오지 않도록 처리하자 피부에 앉아서도 혈관을 잘 찾지 못하고 피를 다 빠는 데도 3~15분이나 걸렸다. 일반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감염을 우려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따라서 추가실험(시체 유래 인간성장호르몬을 실험
동물
에 투여한 뒤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 여부와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감염성이 확증된다면 의료계에 미치는 파장은 상당할 것이다. 알츠하이머라는 이름이 ... ...
머리에 빛 쪼여 알츠하이머병 예방한다
2015.09.21
강한 빛을 쬐어주면 되므로 치료가 간단하고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추가
동물
실험을 거쳐 임상실험을 통과하면 알츠하이머병은 물론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교수는 “앞으로 포르피린을 비롯해 다양한 광감응 소재를 이용해 생쥐 ... ...
데니스 홍 UCLA 교수 “생물학자와 손잡고
동물
근육 지닌 로봇 도전”
동아일보
l
2015.09.17
[동아일보] 로봇과학자 데니스 홍 UCLA 교수 “초등생때 단세포 생물에 매료… 아메바 같은 로봇제작 꿈꿔와” 빔 프로젝터 화면 속 투명한 재질의 로봇 손이 삶은 달걀을 쥐고 있다가 떨어뜨렸다. 로봇공학자인 데니스 홍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기계공학과 교수가 달걀을 잡으려는 ... ...
닭은 왜 가축이 되었나
2015.09.16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더 잘 자라고 생산성이 높아지는 만큼 우리 선조들은 이러한
동물
들만 골라내 가축화했을 것”이라며 “이번 결과를 닭뿐 아니라 돼지나 소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생물학 관련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 16일 자에 실렸다.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동굴에서 지하 30m에 있는 한 지점에서 뼈 무더기가 발견된 건데 상태가 깨끗했다. 즉 육식
동물
에게 공격당한 흔적도 없고 식인행위로 희생된 것도 아니다. 결국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이들을 동굴 안에 데려다놓은 건데, 만일 장례의식, 즉 일종의 무덤이라면 500cc도 안 되는 뇌용량을 가진 인류가 ... ...
나이 들면 귀 안 들리는 원인? 유전자 때문이에요
2015.09.13
유모세포가 손상되면 뇌로 소리를 전달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연구진은 사람과 달리
동물
은 나이가 들어도 청각이 유지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전 연구에서 생쥐에게 특정 유전자를 없앴더니 70% 정도가 노화에 따른 청각장애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지만 구체적인 원인은 알지 못했다. ... ...
“한국 응급실 과밀화 최악… 제2메르스 대비 서둘러야”
동아일보
l
2015.09.08
9개 국제기구의 감염병 관련 전문가와 관계자 496명이 참가한다. 브라이언 에번스 세계
동물
보건기구(OIE) 사무차장은 “국제교역이 늘면서 신종 병원균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전파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예방·대응 능력이 국가별로 균질하지 않다”며 “GHSA를 통한 국제 공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눈동자 진화가 2~4차례 일어났고 원형 눈동자 진화가 여섯 차례 일어났다. 반면 개과
동물
의 경우 공통조상은 준원형 눈동자였고 종분화 과정에서 세로형과 원형 진화가 각각 두 차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됐다. 개가 고양이보다 친숙하게 느껴지는 게 눈동자 모양 때문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결과 이 부분에 p53 단백질의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p53 단백질은 1979년
동물
에서 종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연구하다가 발견됐다. 즉 이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양이 많아지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였다. 따라서 단백질 이름도 별 의미없이 붙였다. p는 단백질의 영문인 protein의 ... ...
이전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