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꼭 닮아서
사람
은 구분하기 어려운 물고기라도 물고기들은 서로를 금세 알아볼 수 있어요. 그 이유는 서로의 얼굴에 서 반사된 자외선 무늬를 볼 수 있기 때문이지요.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지벡 교수 연구팀은 이 사실을 밝혀 내기 위해 실험을 했어요. 자리돔이 든 수조에 자리돔을 닮은 물고기 두 ... ...
4000년 전 그린란드인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추운기후에서 살도록 몸의 *대사율과 지방의 양이 적응됐지요. 저와 같은 사카크 문명의
사람
은 현재 남아 있지 않아요. 우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어떻게 죽었는지도 수수께끼고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자라서 저에 대한 수수께끼도 풀어 주길 기대할게요~!*대사율 : 단위시간 동안 ... ...
반짝 반짝 빛이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물고기는 옆에서 본 모습으로 그려져 있어요.이 그림은 우리가 보기엔 이상하지만, 당시
사람
들에게는 이상하지 않았어요. 눈은 이렇게, 물고기는 저렇게 그려야 한다는 규칙이 있어서 그대로 그려진 것뿐이거든요. 그런데 이 그림을 보다 보면 20세기의 유명한 화가 피카소의 그림이 떠올라요. 그림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5
걸 보니 병이 든 것 같다. 부비는 원래 성격이 좋아서 펭귄이나 바다사자와 같이 지내고
사람
이 다가가도 도망치지 않는다. 수컷은 가끔 먹이를 구하려고 바다에 뛰어들었지만 병든 부비에게 잡힐 물고기는 한 마리도 없었다. 얼마 후, 죽을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는지 바다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리고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수학동아
l
201005
화가인 다빈치는 뛰어난 관찰력으로 쉽게 지나치던 식물에서 원리를 찾아 냈죠. 훌륭한
사람
은 아무리 작은 것도 그냥 지나치는 법이 없나 봐요. 수학이 증명한 최고의 모양식물에 있는 피보나치 수열을 확인하기 위해 꼭 하늘에서 내려다봐야 하는 건 아니에요. 눈높이로 자라는 해바라기 속에도 ... ...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수학동아
l
201005
매일 보던 식물이 수학천재라는 사실이 놀랍죠? 앞서 식물의 수학 실력을 깨달은
사람
들은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로 했답니다. 수학 수업에 식물을 초대한 것이지요.텃밭에서 배우는 수학 미국에는 식물을 키우면서 수학을 배우는 프로그램이 있어요.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개발한 ‘텃밭에서 ... ...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수학동아
l
201005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
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05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
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05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
은 바로 나! 기호 2 미로는 천국으로 가는 길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05
초점거리라고 한다. 정상 시력에서는 눈 뒤의 망막에 초점이 정확하게 맞는다. 근시인
사람
은 초점거리가 짧아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힌다. 그래서 오목렌즈를 써서 초점을 뒤로 밀어준다. 반대로 초점거리가 긴 원시는 볼록렌즈를 써서 초점을 앞으로 당긴다. 기준을 바꾸려면?_기준을 바꿀 땐 ... ...
이전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