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작은 게 쌓이다 보면 어느새 난제를 해결할 수 있을 만한 크기가 되어 있어요. 우리 몸을 촬영하는 CT장비가 고등학교 때 배우는 방정식에서 시작된 게 좋은 예죠.”차근차근 계단을 오르듯이 수학을 알아갔더니 어느 날 영광스럽게도 아벨상을 수상할 수 있었다는 얘기였다. 그러면서도 헝가리에는 ...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선배, 크리스마스가 코앞이에요. 우리 동아리방에도 크리스마스 트리 하나 놓아요.폴 : 역시! 나랑 아밀리는 뭔가 통한다니까. 안 그래도 내가 나무를 구해 왔거든.앤드류 : 그러면 별모양 다면체를 만들어서 장식해 보자. 이참에 ‘별모양화’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반짝이는 별을 닮은 다면체1 ...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뭘까? 평범한 수학대회는 가라!“꿀벌 병사! 네가 오른쪽으로 개미 병사를 넘어가면 우리가 이길 수 있어!”학생들은 한껏 상기돼 있다. 머리에 꿀벌 모자를 쓴 세 친구와 개미 모자를 쓴 세 친구가 4×5 진영 위에서 팽팽하게 맞서 서로 이길 전략을 짜고 있다. 얼핏 책상에 앉아 숨죽이며 시험지를 ... ...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어디 물질만 그럴까. 우리가 쓰는 에너지 치고 별빛과 태양빛에서 오지 않은 게 없다. 우리는 초신성의 후예일 뿐 아니라 별과 태양의 자손이기도 하다. 최근 인류는 대담한 도전을 하고 있다. 별빛과 태양빛을 지상에서 인공적으로 만들려는 ‘핵융합’이다. 핵융합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 ...
-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우주에 또 한 걸음을 내디뎠다. 우리 시간으로 11월 13일 새벽 1시, 로제타 우주선에서 발사된 탐사로봇 필래가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 표면에 착륙했다는 소식이 지구로 전해졌다. 로제타 우주선은 유럽우주국이 2004년 발사한 혜성탐사선이다. 10년의 대장정 끝에 작은 혜성 표면에 최초로 ... ...
- 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실패하며 ‘우주 탐사에는 성공보다 실패가 흔하다’는 걸 조금 깨닫게 됐다. 그래도 우리는 3번 만에 성공했지만, 초기에 화성탐사를 시도하던 나라들은 지독한 실패를 맛봐야했다.1960년부터 1999년까지 42건의 임무 중 성공한 게 16건밖에 안 된다. 착륙도 아니고 궤도진입인데 말이다. 오죽하면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블랙홀 뒤에 있어 보이지 않아야 할 별빛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렌즈 효과를 받아 휘면서 우리 눈에 보인 것이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블랙홀의 중심이 주변 물질을 끌어당겨 원반을 만들고, 끌어당겨진 가스가 수축하며 빛을 내 원반이 빛나는 모습 그리고 중력이 원반을 뒤틀어서 만드는 ...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암흑물질은 우리가 아는 ‘물질’보다 다섯 배 많을 것으로 예측되는 미지의 물질로, 전체 우주의 27%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암흑물질은 물질과 반응하지 않아 이제까지 관측이 거의 불가능했는데, 최근 기발한 방법으로 암흑물질을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미국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늘어나는 것처럼, 세상이 각박해질수록 마음이 아픈 사람도 많아진다. 그들은 오늘도 우리 주변에 있다. 어쩌면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일 수도 있다. 마음이 아프다면 주저 말고 병원으로 오시라. 고치면 되는 일이다 ... ...
- [hot science] “내가 만만해 보여?” 양자역학의 굴욕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어떻게 봐도 양자역학은 겉모습을 그럴 듯하게 만들기 위한 포장지일 뿐입니다. 언젠가 우리 몸의 작동 원리를 양자 수준에서 파악할 수 있다면, 양자역학이 의학에 쓰일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의 소위 양자의학이라는 것은 의학계에서도 물리학계에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 ...
이전5335345355365375385395405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