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d라이브러리
"
기자
"(으)로 총 10,052건 검색되었습니다.
보고, 만지고, 나누는 수학! 제2회 수학문화축전
수학동아
l
201211
온 사람들과 함께 수학의 즐거움을 나누게 될 거예요.인터뷰를 마친 수학동아 독자
기자
들은 행사장에 있는 ‘2014 국제수학자대회’ 후원 모금함에 후원금을 기부했다. 모인 후원금은 국제수학자대회에 가난한 나라 수학자들을 초대하는 데 쓰인다고 한다. 보고, 만지고, 즐기는 수학에 나누는 ... ...
이상한 착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211
‘어떻게 된 거지?’신비의 숲에서 정신을 잃은 앨리스는 영문도 모른 채 낯선 공간에서 눈을 떴다.“착시 미술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당신은 영원히 이 미술관을 벗어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깔깔깔. 이제 모든 것은 당신의 손에 달렸습니다. 행운을 빌…(지지직).”어디선가 기분 나쁜 목소 ... ...
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11
늑대복원 사례1920년대에 미국 지역에서 멸종됐다. 인디언과는 공존했지만 백인이 목장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늑대가 가축을 위협하자 유럽인의 늑대에 대한 증오와 맞물려 재앙이 닥쳤다. 1997년 미국 옐로스톤국립공원이 늑대 복원을 시작했다. 캐나다 앨버타주나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사는 늑대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11
지난 8월 말 타계한 닐 암스트롱. 그가 1969년 7월 20일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에 발을 내딛는 순간을 우리는 기억한다. 밤하늘에 떠 있는 ‘왕별’쯤으로 여겼던 달의 실체가 처음으로 맨몸을 드러낸 순간이었다. 과거 닐 암스트롱의 영상을 보며 먼 동네 이야기로만 알았던 일이 점점 현실로 다가 ... ...
Part 3. 에너지드링크
과학동아
l
201211
때 편의점으로 발길을 돌리는 버릇이 더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결국 편의점을 나서는
기자
의 손에는 커피가 들려 있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먹거리 X파일 - 당신은 제대로 알고 먹는가?Part 1. 조미료Part 2. 유기농Part 3.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11
올해 노벨화학상은 로버트 레프코위츠 미국 듀크대 의대 교수와 브라이언 코빌카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둘 다 의대 교수인데다 연구 주제도 얼핏 생명과학과 더 가까워 보여서 발표 직후 잠시 술렁임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이 연구한 ‘구아닌(G)-단백질 결합 수용체(G-protein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11
[처음 심판대 위에선 GMO옥수수, 과연 안전할까?]유전자변형작물(GMO)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는 논문이 발표돼 유럽이 들끓고 있다. 발단은 지난 9월, ‘식품화학독성학회지’에 실린 논문 한 편이다. 질-에리크 세랄리니 프랑스 캉대 생물학연구소 박사팀은 제초제 내성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쥐에게 ... ...
‘불산’ 무섭지만 버릴 수 없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11
[달라붙지 않는 프라이팬의 코팅재료로 유명한 플라스틱 테플론의 구조(일부). 탄소골격(회색공)에 불소(연두색 공)가 결합된 고분자다.]9월 27일 경북 구미시 산동면에서 발생한 불산가스 누출사고 후유증이 심각하다. 사람이 죽고 반경 700m 이내 숲과 들이 초토화됐다. 불산가스가 뭐기에 이런 엄청 ... ...
화려한 나비 날개가 품은 독
과학동아
l
201211
화려한 색을 가진 열대 나비의 날개를 잘못 만졌다가는 사지를 못 쓰게 될 지도 모른다. 바다달팽이가 쓰는 것과 같은 종류의 독소가 발견됐기 때문이다.오스트리아 비엔나 의대 배낙현 박사팀은 열대 나비 ‘그라우시페 끝주홍나비(Hebomoia glaucippe)’의 날개에 있는 독 성분이 바다달팽이로 불리는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11
1997년 인류는 ‘순간 이동’의 가장 기초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양자 전송’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2003년 양자 전송의 거리는 800m로 늘어났다가 최근에는 143km까지 연장됐다. 앞으로 대기권 바깥의 인공위성으로도 양자 전송 실험을 할 계획이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도 양자 전송과 관계가 깊다.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