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천왕성의 궤도를 철저히 계산해본 결과 이론값과 실제값이 잘 들어맞지를 않았다.
결국
천왕성 궤도 바깥에 또하나의 행성을 가정할 수 밖에 없었는데, 계산된 궤도를 자세히 관측한 결과 해왕성을 발견했다.명왕성은 미국의 클라우드 톰보우가 찾아냈다. 역시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가 분석된 후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할 것이냐는 문제. 이 논쟁은 국내에 자기부상열차 연구붐을 조성하기는 했지만
결국
은 바퀴식으로 결정되고 말았다.또하나는 TGV인가 신칸센인가 아니면 ICE인가 하는 문제. 내년 초에 이루어질 이 선택의 잣대는 경제성과 기술성으로 나뉜다. 차관 공여 조건이 주내용인 경제성은 별도로 하고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태양광은 대기를 통과하며 산란되는데 이때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정도가 높다는 것이다.
결국
파장이 제일짧아 가장 많이 산란된 파랑색 계열은 대기층을 통과하며 거의 에너지를 잃어 하늘에는 붉은 놀이 펼쳐지게 된다는 것이다.그러면 해질녘이 아닌 다른 시간대에는 왜 파란 하늘을 보게 될까?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러나 연구소 노조결성등 당시의 현장 문제에는 소심하다할 정도로 회피로 일관해
결국
그 수습을 후임장관에게 넘겨주고 물러나야 했다.현재는 대통령 직속자문기구인 21세기위원회 위원장직을 맡아 차기 대통령에게 보고할 국가장기발전계획을 구상하고 있다.'안면도' 짐 무거운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것을 예측할 수 있었던가. 단진동 때는 유사한 현상을 관측할 수 없지 않았던가. 이것은
결국
뉴턴의 제2법칙과 특정 시스템의 진화과정을 색소가 있는 물질, 즉 ${Fe}^{2+}$(빨강색) 혹은 ${Fe}^{3+}$(푸른색)을 사용해 육안으로 관측한 것이 된다.심장의 근육성 진동주어진 조건하에서 화학반응을 ... ...
시라노 드 베르주락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위로 던지면 위로 올라가는 힘을 상쇄할 만큼의 힘으로 철판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결국
중력에 끌려 전체는 밑으로 가라앉게 된다.)4. 무엇인가를 공기로 가득채우고 열을 가한 후 구멍으로 빼내는 것이다. (이것은 제트비행기 원리의 한 유형인데 주변이 공기로 둘러싸여 있을 때만 가능하다.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상쇄간섭 현상을 일으키면 전체 에너지가 약해져서 사진건판 위에 약하게 노출된다.
결국
이러한 추가간섭과 상쇄간섭 무늬를 정착과정을 통해서 필름에 담는 것이다. 이 무늬판에 다시 빛을 비추면 상이 입체적으로 재생된다.(그림 2)를 통해서 간섭무늬가 사진건판위에 기록되어지는 원리를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238에 흡수되는 중성자의 수가 새로 생성되는 중성자의 수보다 많아지게 될 것이다.
결국
원자로는 미임계 상태가 되므로 출력은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들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일어나고 이 기간에 발생할 에너지의 총량은 폭발이라고 하기에는 미미한 정도다. 이것을 굳이 원자탄 ... ...
5. 이제 관심은 평화적 이용방안에 모아져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핵무기 수가 5만기에 달하는 군비확산체제에 돌입하게 되었다. 이런 군비확산경쟁은
결국
지나친 국방비를 요구하게 되었고 국가경제를 뒤흔드는 상태까지 이르렀으며, 그러면서도 서로가 큰 위협을 느끼게 되어 군비감축논의가 자연스럽고 진지하게 진행됐다.이런 결과 1970년에는 강대국들이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저궤도)을 지나고 있으므로 중간고도에 위치한 '반알렌대'를 1일 4회 통과할 수밖에 없다.
결국
이 위성의 장비들은 방사선에 피폭돼 수명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겨우 3년 정도로 단명하기도 한다. 이 우주쓰레기는 방사낙진과 같은 위협적인 것으로 간주된다.군사첩보위성에 양적으로 앞선 소련의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