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비자를 유혹하는 제품의 패션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껌보다 67%나 비싼 5백원에 책정돼 ‘비싼 껌’이라는 인식만 남긴 채 시장에서 사라졌다.
이후
롯데제과는 포장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마케팅 전략을 펼쳐나갔다. 자일리톨껌이 기존의 설탕껌에 비해 품질이 우수하다는 확신을 가진 만큼 포장도 그 사실을 표현해줄 수 있도록 일반 3백원짜리 껌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곤충들의 생활상을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1878년(55세)‘ 곤충기’1권을 발간했다.
이후
엄청난 열정으로 집필을 계속해 1907년(84세)에는‘곤충기’10권을 간행했고, 1909년에는 86세의 나이로 11권의 집필을 시작했다. 1915년 5월 파브르는 92세로 곤충 사랑의 긴 생애를 마감했다 ... ...
6T - 메가톤급 산업혁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최초로 달에 보내는데 성공한 것 모두 냉전시대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방송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ST는 상용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가장 최근에 등장한 CT에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같은 문화기술이 속한다. 1989년 닌텐도가 겜보이를 출시했을 때만 해도 게임산업은 몇몇 사람의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대학의 우주과학연구를 활성화시킬 목적을 갖고 2-3년에 1개씩 발사되는 셈이다. 2005년
이후
에 개발되는 과학위성은 모두 국산 우주발사체로 국내에서 발사된다.아리랑 프로그램은 1994년 11월부터 시작됐다. 총 2천2백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미국의 TRW 인공위성 제작회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 ...
한국여성 과학계 참여 10%도 못미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화학과 석사를 취득한다. 그리고 1990년 8월 미국 휴스턴대에서 화학과 박사를 취득했다.
이후
곧바로 휴스턴대에서 연구교수로 2년간 재직했다. 국내에 들어와 오늘까지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김박사는 지난 10여년간 전자부품과 리튬전지에 응용되는 전도성 고분자 소재를 ... ...
'몸이 재산' 프로선수 독특한 체격 진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키도 마찬가지다. 약 23cm 더 크면 1년 정도 선수경력이 더 길었다. 선수들의 몸값이 1993년
이후
에 평균 1백만달러에 육박하고 선수생명력이 4.3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선수의 체구가 그들의 경제적 이득과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계산해보면 신장이 1cm 더 크거나 체중이 1.3kg 더 나가면 ... ...
초음파 진단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두가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태아의 뇌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가”라고 덧붙였다.이 조사에 따르면 1976년
이후
에 태어난 남성에게서 왼손잡이 비율이 뚜렷이 증가했다. 그런데 이해에 스웨덴에서 산모가 2차례의 초음파 진단을 받는 것이 일반화됐다. 킬러 박사는“최근 부모가 기념으로 태아의 초음파 영상을 찍는 ... ...
세계 최고 하이테크 축구공 피버노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뛰어나다. 따라서 오래도록 방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970년 멕시코월드컵
이후
공인구가 사용되면서 축구공은 진화를 거듭해 왔다. 32조각천연가죽에서 가죽보다 방수성과 탄력이 뛰어난 플라스틱 재질의 인조가죽으로 변화했다. 골이 많이 나는 박진감 넘치는 경기로 유도하는 FIFA의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반영되도록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그가 제출한 총 8차례의 방대한 보고서는
이후
국가 과학정책 수립의 중요한 지침서가 됐고, 그 결과 폭넓은 대중은 처음으로 과학과 만날 수 있게 됐다.캐번디시 가문의 과학사랑은 오늘날에도 멈추지 않고 있다.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경계 쯤에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1997년 네덜란드 델프트대의 데커 연구팀은 최초의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이후
IBM사를 비롯한 몇몇 연구기관에서 탄소나노튜브 반도체소자의 개발을 앞다퉈 발표했다.하지만 현재까지 반도체소자 기판 위에 탄소나노튜브를 배치하는 방식은 매우 주먹구구식이다. 제조해낸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