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가 들썩이는 산업비타민 전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작은 구형으로 제작하면 반도체 표면에 광택을 낼 때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
점
도 있다.김 박사팀은 이 기술로 중국 특허까지 얻었다. 중국정부가 김 박사팀의 기술을 사용하려면 희소금속의 공동사용권을 나눠줘야 하는 셈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 김신종 사장은 “희토류 금속에 대한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때문에 발자가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적용해 보기 쉽다.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다는
점
을 이용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연동한 게임도 나와 있다.박성준 교수는 “예전과 달리 이제는 게임을 할 수 있는 기기와 인터페이스가 다양해져 게임의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다”며 “모션 컨트롤을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질량이 아주 큰 별은 최후를 맞을 때 중성자별보다도 더 수축해 마치 모든 질량이 한
점
에 모인 것처럼 된다. 이런 천체가 블랙홀(black hole)이다. 블랙홀은 중력이 너무 강해서 어떤 물질도, 심지어 빛조차도 쉽게 그 중력권을 벗어나지 못한다.질량이 작은 별은 백색 왜성으로 종말을 맞는다. 이때는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사용하지 않아 항균성도 좋고 피부 트러블이 심한 사람이나 아토피 피부염에도 좋다는 장
점
이 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부모님의 오래된 손수건을 천연염색해드리면 어떨까 ... ...
자연계 상위권은 영어·수학 B형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개편은 수능의 변별력과 영향력을 지금보다 줄이겠다는 취지다. 따라서 수능 과목별
점
수차는 지금보다 줄어들 전망이다. 이처럼 수능시험이 자격시험화될 경우 상대적으로 대학별 고사에 힘이 더 실리게 된다. 이미 상위권 대학을 위주로 논술과 심층면접의 대학별 고사가 늘어나는 추세다 ... ...
[지구과학] 지진파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후로 계속 줄어든다. 즉 지구 내부에서 측정한 압력의 크기는 구텐베르크면까지는
점점
가파르게 증가하다가(∵밀도), 그 이 후로는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중력가속도) S자 커브를 보인다 ... ...
문화재 사랑은 느티나무 심기부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박병수 박사 연구팀은 사찰이나 향교 등 전국의 목재 건축 문화재 114곳의 기둥 1009
점
에서 나온 나무조각을 약품으로 처리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부석사 무량수전(사진)이나 수덕사 대웅전 등 고려시대 건물 기둥의 55%, 조선시대 건물 기둥의 21%가 느티나무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 ... ...
Part 1.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그리고 사람을 뜻하는 ㅣ(인)을 기본으로 만들었어. 도형을 다루는 기하학의 기본 요소인
점
과 선을 이동하고 회전해 여러 개의 모음을 만든 거야. 먼저 ㅡ는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면ㅣ가 돼. 그리고 ㅡ에 획을 추가해 만든 모음 ㅗ를 반시계방향으로 90° 씩 회전하면 모음 ㅓ, ㅜ, ㅏ를 만들 수 ... ...
Part 3.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것 같기도 하고 말이야. 바우바우시에서 한글을 문자로 쓰게 된 것도 한글의 이런 장
점
때문이겠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세 번째 한글 자음 'ㅇ'은 숫자 0과 ... ...
Part 6.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야. 또다른 업적은 2차원 이징모형의 증명인데, 이징모형은 격자
점
위에 원자가 있을 때 서로 어떻게 작용하고 에너지가 정의되는지 나타내는 수학적 모형이야. 교수님이 연구하는 분야를 일컬어 통계물리학이라고 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